將欲흡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是謂微明,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장욕흡지, 필고장지. 장욕약지, 필고강지. 장욕폐지, 필고흥지. 시위미명, 유약승강강. 어불가탈어연. 국지이기, 불가이시인.
|
36.
장차 그것을 오므리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펼쳐 주어야 한다. 장차 그것을 악화시키려면 반드시 우선 그것을 강화시켜야 한다. 장차 그것을 폐하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일으켜 세워야 한다. 장차 그것을 빼앗으려면 먼저 그에게 주어야 한다. 이것을 드러나지 않은 깊은 지혜라고 한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억세고 강한 것을 이긴다. 물고기는 연못을 벗어나지 않아야 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이기는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아야 한다.
주
흡: 쭈그리다, 오므리다, 수축하다. 고: 먼저, 잠시, 우선. 장: 벌리다, 펼치다. 미명: 드러나지 않은 슬기, 숨겨진 지혜. 국지이기: 부드러움으로 억센 것을 이겨내는 성인의 심오한 지혜는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 없어서는 안될 유익한 기구인 것이다.
해
이 장은 사람을 다루는 처세술의 방책을 말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움츠리는 자벌레는 몸을 펴서 앞으로 나가기 위함이요, 그것을 약하게 하고자 하면 그것을 강하게 만들어야 하며 폐지하고자 하면 먼저 흥왕케 해주어야 한다. 빼앗기 위해서는 먼저 주어야 하고 앞으로 전진하기 위하여 우선 일보 후퇴할 줄 알아야 한다. 사물의 작용에는 반드시 반작용이 따르기 마련이고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고기를 잡고자 하면 우선 그물과 배를 마련해야 한다. 즉 우회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항상 처세에 있어서도 우회적 간접적인 방법이 도리어 목적 달성에 유효한 경우가 많다. 실을 피하고 빈틈을 찔러야 이길 수 있다는 손자의 가르침은 노자서의 이 장과 통하는 면이 있다. 그러므로 이 장은 노자 철학의 일반적 성격에 비하여 좀 색다른 데가 있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 장이 법가 계열의 냉혹한 인간 조종술과 매우 상통하며 특히 한비자의 주도편과 성경을 같이함을 주목하여 후세 전국 말기의 법가 계열의 학자에 의해 덧붙인 문장으로 간주하고 있다. 참고로 한비자 주도편의 문장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말한다. 군주는 자신의 의도를 노출시켜서는 안된다. 군주가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면 신하는 이에 영합하여 스스로 겉을 꾸미게 되는 것이다. 군주가 자기의 뜻을 드러내면 신하는 장차 스스로 표리부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한다. 좋아하는 것도 버리고 싫어하는 것도 버리라. 그렇게 하면 신하는 소질 즉 스스로의 타고난 순수한 본바탕을 드러낼 것이다. 기교도 버리고 지혜도 버리라. 그렇게 하면 신하는 스스로 갖추게 되는 것이다.'
아무튼 한비자 사상의 밑바탕에는 노자의 무위 사상이 스며 있고 노자의 형이상학, 생활 철학 위에 법술가적 방책을 가미한 것이 그의 정치철학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