夫佳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 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夫樂殺人者, 則不可鎰志於天下矣, 吉事尙左, 凶事尙右. 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言以喪禮處之, 殺人之衆, 以哀悲泣之. 戰勝以喪禮處之.
부가병자, 불상지기, 물혹악지, 고유도자부처, 군자거즉귀좌, 용병즉귀우. 병자, 불상지기, 비군자지기. 부득이이용지, 염담위상, 승이불미. 이미지자, 시락살인. 부락살인자, 즉불가이득지어천하의. 길사상좌, 흉사상우. 편장군거좌, 상장군거우. 언이상례처지, 살인지중, 이애비읍지. 전승이상례처지.
|
서른한째 장
직역
아무리 아름다운 병기라 할지라도, 상서롭지 못한 기물이다. 세상 사람들이 그것을 싫어하므로 도에 있는 자는 처하지 않는다. 덕이 있는 사람은 평상시에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병기를 사용함에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병기라는 것은 상스럽지 못한 기물이므로 덕이 있는 자의 기물이 아니다. 부득이 해서 그것을 쓸 뿐이니 고요하고 담백한 것이 제일 좋은 것이다. 이겨도 아름다운 것이 아니다. 그것을 아름답게 여기는 자는 살인을 즐기는 것이다. 대저 살인을 즐기는 자는 하늘 아래 뜻을 얻을 수 없다. 좋은 일에는 왼쪽을 높게 하고, 흉사에는 오른쪽을 높였다. 부관 장군은 왼쪽에 자리잡고, 상장군은 오른쪽에 자리잡는다는 말은 상례로서 그것(전쟁)에 처하란 것이다. 사람의 무리를 죽였으면 슬퍼하고 애통하여 울 것이다. 전쟁에 이겨도, 상례에 처할 것이다.
해석
칼이 아름다운가. 그러나 전쟁터에서 칼은 사람을 죽이는 도구일 뿐이다. 핵탄두가 아름답다고 여기는가. 미사일이 날아가는 모습이 아름다운가. 그것은 사람을 죽이는 도구이다. 전쟁놀이는 재미있다. 그런 사람의 심정이 전쟁을 부른다. 총을 쥐어 본 적이 있는가. 하다 못해서 각목이라도 쥐어 본 적이 있는가. 피가 끓는다. 시비를 가리지 않고 해결하고 싶어한다. 적을 베어 영웅이 되고 싶어한다. 칼을 들면 판단이 사라진다. 오직 적만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덕이 있는 사람은 칼을 씀에 담백히 하란 것이다. 칼을 들어도 자신이 칼을 들었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칼에 지배를 받지 않는다.
좌가 높고 우가 낮다는 것은 고대의 의식이다. 그래서 좋은 일에는 귀한 손님을 왼쪽에 두어 그 사람을 높인다. 전쟁이 좋은 일이라면 대장을 왼쪽에 자리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오른쪽에 자리하게 한다. 이것은 흉사때 쓰는 예법이다. 따라서 고대에도 전쟁을 흉사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대장이 왼쪽에 위치한 것이다. 이것은 초상을 당한 예이다. 전쟁은 이런 마음으로 하는 것이다. 이겨서 영웅이 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을 죽여야 한다. 이유가 어찌되었건 간에 전쟁으로 인해 죽은 사람을 위해서 슬퍼할 줄 알아야 한다. 백명을 죽이고 천명을 죽여서 영웅이 되는 것은 자랑이 아니다. 그것을 자랑이라고 여긴다면 세상은 온통 전쟁으로 시달릴 것이다. 지금의 전쟁은 어떠한가. 전쟁에서 이겨도 상례의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 것이다.
|
31.
성능이 좋은 무기란 상서롭지 못한 기구이다. 세상 사람들은 언제나 그것을 미워한다. 그러므로 도를 체득한 사람은 무기의 사용을 꺼려하는 것이다. 군자는 평상시에는 왼쪽을 소중하게 여기지만 용병하는 때에는 오른쪽을 소중하게 여긴다.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것이며 군자가 가까이 할 물건이 못된다. 하는 수 없이 그것을 쓰게 될 때에는 담담한 마음을 지니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싸워서 이기더라도 잘 하였다고 기뻐해서는 안된다. 전투에 이긴 것을 잘 하였다고 기뻐한다면 그것은 곧 사람 죽이는 것을 즐긴다는 것이다. 사람 죽이는 일을 좋아하는 사람은 이 세상에서 그 뜻을 성취할 수 없을 것이다. 경사에는 왼쪽을 상석으로 하고 흉사에는 오른쪽을 상석으로 한다. 군대에서는 부장은 왼쪽에 자리잡게 하고 사령관은 오른쪽에 자리잡게 한다. 왜냐하면 전투 행위를 애도할 일로 간주하여 상례를 여기에 적용한 것이다. 사람을 많이 죽게 하였으므로 그 일로 슬퍼하여 눈물 흘리고 싸움에 이겼을 지라도 장례식의 예로써 이에 대처한다는 것이다.
주
가병: 성능이 좋은 무기, 병은 무기를 뜻함. 가병을 미병으로 표기한 관본도 있음. 불처: 그곳이 마음 편안히 머물지 않는다. 즉 무기 사용을 꺼려한다, 기피한다는 뜻임. 거: 평상시. 영담: 편안하고 담담한 모양. 미: 잘하였다고 기뻐하는 것. 편장군: 부장임, 편을 돕는다, 보좌한다는 뜻임. 상장군: 대장군 죽 총사령관을 말함.
해
이 장에서는 앞장에 이어 전쟁의 폐단을 고발하고 있다. 무기는 흉기이며 전쟁은 사람다운 사람이 할 일이 못되는 것이다. 부득이하여 적의 침략 등으로 전쟁을 해야 할 때에도 전쟁을 즐기는 듯한 마음가짐으로는 안될 일이다. 사람을 죽이는 것을 좋아하는 자는 천하에 자신의 뜻을 이룰 수 없는 것이다. 맹자도 '사람을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 이가 능히 천하를 통일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천하 만민의 마음을 사로잡는 길은 오직 어진 정치를 베푸는 것에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묵자도 간결하고 통쾌한 표현을 구사하여 전쟁을 규탄하고 있다. 죄없는 사람 한 명을 죽인다면 그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를 지은 범인임에 틀림없고 열 명을 죽인다면 열 배의 범죄를 저지르는 것이므로 열 배의 살인죄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쟁은 죄없는 백성을 죽이고 남의 나라를 빼앗는 행위이므로 몇 사람을 살상하거나 타인의 가축을 약탈하는 데 비하여 그 죄악이 훨씬 큰 것이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이런 전쟁 행위를 불의라 하지 않고 도리어 그 공을 찬양하고 문장으로 후대에 전하고 있다. 이 일이 어찌 큰 모순이 아니겠는가. 노자, 맹자, 묵자 등은 탁월한 식견을 지닌 현인들로 춘추전국시대의 국가 상호간의 공벌약탈의 참화를 고발하고 평화를 역설하였다. 이들이 전쟁을 성토하고 평화를 부르짖는 논조에는 보편적인 인류애에 바탕을 둔 인도주의 정신이 깔려 있음은 두말할 것도 없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