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
공지 | 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 바람의종 |
공지 | 한문 읽기 입문 | 바람의종 |
공지 | 漢詩基礎 | 바람의종 |
998 | 梨花 (이화) - 李塏(이개) | 風文 |
997 | 李書九,<晩自白雲溪復至西岡口少臥松陰下作>(이서구) | 바람의종 |
996 | 留題族父禮山公山居(유제족부예산공산거) - 정약용(丁若鏞) | 風文 |
995 | 柳氏二外甥求筆跡 (유씨이외생구필적) 二首 - 소식 | 바람의종 |
994 | 蓼花白露(여뀌 꽃 언덕의 백로) - 李奎報(이규보) | 風文 |
993 | 戀詩 / 一休宗純 | 바람의종 |
992 | 旅夜書懷(여야서회) - 두보 | 바람의종 |
991 | 廬山(여산) - 소식 | 바람의종 |
990 | 兩班論 양반론 - -김병연 (김삿갓) | 바람의종 |
989 | 不倒翁(부도옹) - 최영년 | 바람의종 |
988 | 論詩(논시) - 이규보 | 風文 |
987 | 落花吟 낙화음 - 김병연 (김삿갓) | 바람의종 |
986 | 洛下渡頭嶺上(낙하도두영상) - 박은(朴誾) | 風文 |
985 | 樂書齋偶吟(낙서재우음) - 윤선도(孤山 尹善道1587~1671) | 風文 |
984 | 金鎭圭(1658~1726)의 한시 | 바람의종 |
983 |
金城板上韻(금성판상운) - 고죽 최경창
![]() |
바람의종 |
982 | 金剛山詩 - 김립 (김삿갓) | 바람의종 |
981 | 흰구름 푸른 내는 - 김천택 | 바람의종 |
980 |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 바람의종 |
979 | 휴가 - 김제안 | 바람의종 |
978 | 훙커우의거 직전에 쓴 윤봉길의사 한시 | 바람의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