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
공지 | 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 바람의종 |
공지 | 한문 읽기 입문 | 바람의종 |
공지 | 漢詩基礎 | 바람의종 |
998 | 李世白, <蟻戰> (雩沙集 권 1) (課作) | 바람의종 |
997 | "내 벗 석주명(나비박사)을 위해…" 정인보 장편한시(漢詩) 공개 | 바람의종 |
996 | 囀花鶯(전화앵) - 김극기 | 바람의종 |
995 | 滕王閣(등왕각) - 王勃(왕발) | 바람의종 |
994 | 鸎(앵 : 꾀고리 앵) - 권상하 | 바람의종 |
993 | [re] 田家 - 박지원 | 바람의종 |
992 | [re] 남계우와 석주명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바람의종 |
991 | [re] 조식(曹植)의 지극한 사랑을 공유하다 | 바람의종 |
990 | [re] 金炳淵의 개구리(蛙) | 바람의종 |
989 |
[이종묵의 ‘한시 마중’]<10>벗이 보내준 만두 한 그릇
![]() |
윤안젤로 |
988 |
[이종묵의 ‘한시 마중’]<11>생명을 얻은 낙엽
![]() |
윤안젤로 |
987 | [정민의 세설신어] [35] 아만(我慢)의 반성 | 바람의종 |
986 | 丁克仁(정극인) | 風文 |
985 | 丁而安寫予眞自作贊曰 - 이규보 | 바람의종 |
984 | 七夕 | 바람의종 |
983 | 七步詩 - 조식 | 바람의종 |
982 | 七步詩(칠보시) - 曹植(조식) | 바람의종 |
981 | 三田渡(삼전도) - 윤선거 | 바람의종 |
980 | 上元月 상원월 - 김병연 (김삿갓) | 바람의종 |
979 |
下寧寺(하령사) - 이규보
![]() |
바람의종 |
978 | 不亦快哉行16(불역쾌재행16) - 정약용(丁若鏞) | 風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