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지동설
곧 한 번도 오지 않았던 아침이 올 거야
그 무엇에도 닿지 않아 소리가 없는
태양이 떠오를 거야
검은 고양이의 털 속에서 솟구쳐 올랐다는
물의 왼쪽 옆구리로 빠져나왔다는
아니 별들과 모래의 고독에서 새어 나왔다는 아침은
고요하고 고요를 겹겹으로 껴입은 공기는 투명해질 거야
태양은 둥글고 빛은 비리고 나는
피 맛을 온몸에 뒤집어쓰고
당신의 동쪽에서 당신의 서쪽으로 걸어갈 거야
나는 당신에게서 흘러나온 뜨거운 그림자일지도
3만 광년 떨어진 거리에서 그리움으로
내내 타고 있는 당신일지도
당신 안에서 한 발도 못 빠져나온 당신의
흑점일지도 모르는 것
그렇다면 나는 어느 방향으로 가도 그것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당신에서 당신으로?
그렇다면 오늘도 나타나는 천 개의 태양은?
쉴 새 없이 땅속을 파고드는 발소리들은?
당신의 어디와도 닿지 않는
46억 년 전부터 계속된 나의 춤은?
아침은 늘 새롭다. 어떤 것인들 변하지 않는 것이 있으랴. 우리가 알아차리기에는 너무나 작은 변화겠지만, 태양과 지구의 질량중심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지만, 그들은 여전히 그 전과 엇비슷하게 서로를 돌고 있다. 몸에 춤만 남은 우리. 황금찬 시인의 시구였던가. 우리 몸속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원소들이 들어와서 끊임없이 새로운 '우리'를 만들고 있는데, 새로 들어온 원소들도 새로운 '우리'도 관성처럼 변함없이 엇비슷한 춤을 춘다. 46억 년 동안의 변해왔어도 몸에 춤만 남은 우리.
1633년 바티칸 종교재판소는 갈릴레이에게 "태양 중심의 우주관을 버리라"고 명령했다. 중심이라는 말에서 권력의 이미지가 사라지지 않는 것은, 중심이 탄생하는 순간 주변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태양 중심의 우주관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중심을 다른 말로 바꿀 수는 없을까. 중심이 사라진 곳이야말로 인간이 바라보는 우주가 아닌, 우주가 바라는 우주 아닐까. 중심이라는 말도 주변이라는 말도 사라진 곳이야말로 우주 아닐까. 평평한 두 발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멈추어 서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가 중력을 받으면서도 무중력이라는 이상한 힘으로 지구라는 별을 유영하고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우리의 춤은 그래서 뜨겁고 우아하기도 한 것은 아닐까. 그래 그러니까 문제는 중심이 아니라 춤이다! 그래 그러니까, 갈릴레이 할아버지 말처럼,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이원은… 1968년생. 1992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 시집 <그들이 지구를 지배했을 때>, <야후!의 강물에 천 개의 달이 뜬다>,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오토바이> 등. 현대시학작품상(2002), 현대시작품상(2005)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