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집에 대한 풍문
달이 뜬다
달이 집으로 들어간다
집에 불이 붙는다
사람들이
달로 간다
달로 간다
달로 간 사람들은
돌아오지 않는다
달이 상자로 들어간다
상자에 불을 밝힌다
떠오른다, 검불처럼, 티끌처럼
달로 간다
달로 간다
달로 간 것들은
돌아오지 않는다
사람들이 달맞으러 간단다
(쇠사슬을 끌고)
달맞으러 간단다
(발걸음도 가벼웁게, 달로 가는 길)
저마다 머리에 달을 이고
(프로메테우스도 아닌 것들이!)
정수리로 달을 밀어 올리며
(철그럭 철그럭)
달맞으러 간단다
(발꿈치를 조금, 아주 조금만 들고)
그곳으로 간단다
(쇠공이 발목을 당기는 힘으로)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한다. 햇빛을 받아 반사하면서 자신을 밝힌다. 달집을 만들고 불을 지펴 태우는 건 어쩌면 그런 달을 연민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달까지 도달하지 못할 숙명을 안고 하늘로 올라가는 달집 불꽃을 뻔히 알면서도 우리들의 염원과 소망을 달집에 담아 불을 붙여 진짜 달로 올려보내려는 것일지도 모른다. 희망을 품자면 뭐라도 해야하니까.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 떠올랐다. 달을 올려다보던 작고 작은 난장이 모습이 안스럽다. 그러고 보니, 지금 우리 곁에도 난장이들이 있다는 사실을 잠시 잊고 있었다. 용산 참사로 목숨을 잃은 그들이 난장이다. 그들은 달을 닮았다. 늘 빛을 반사하면서 살아왔다. 달집 태우기가 그들을 위한 위령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름달은 길조일까, 흉조일까? 늑대인간이 출몰한다는 그곳에선 불길한 징조겠지만, 해마다 보름달을 두고 소원을 비는 이곳에선 길조. 하지만 때로 보름달을 보면 어떤 예감이 들기보다는, 지나치게 밝아 비정하고 비현실적이란 생각이 든다. 어쩌면 동그란 달은 영화 <트루먼쇼>에서처럼 저쪽에서 이쪽을 들여다보는 창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혹은 이 세상 너머에 대한 징표, 그도 아니면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네온사인? 그러니까 현실에 뚫린 가상의 구멍이거나, 가상에 뚫린 현실의 흔적이거나. 적어도 지구에서 본 보름달은 그렇다. 보름달은 사건에 대한 전조가 아니라, 그 자체로 사건이다. 그러니 애먼 달을 두고 길조니 흉조니 말놀이를 하는 것은 그만두기로. 그나저나 그들은 지금쯤 달에 도착했을까? 달의 어디쯤에 불에도, 물에도 휩쓸리지 않을 집을 지었을까? 달집은 원래 정월대보름에 빈 들판이나 높은 동산에 쌓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엔 꼭 그렇지만도 않다 하더라.
윤예영은… 1977년생. 1998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해바라기 연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