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 사흘 앞으로 다가 왔다. ‘추석(秋夕)’은 예기(禮記)의 ‘춘조월 추석월(春朝月 秋夕月)’이란 기록에서 옮겨온 것으로, 가을밤인 추석에 1년 중 가장 밝은 달빛을 볼 수 있어 상고시대부터 농경민족에게 아주 특별한 날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추석’을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부르는데, 가을의 계절인 음력 7, 8, 9월 중 음력 8월이 가을의 중간이고 또한 15일이 8월의 중간이기 때문에 ‘가을의 한가운데에 있는 명절’이란 뜻에서 추석을 중추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한 추석을 우리 고유의 표현으로는 ‘한가위’라고도 부르는데, 그럼 ‘한가위’의 어원은 무엇일까. 먼저 ‘가위’는 ‘음력 8월 또는 가을의 한가운데’를 의미하며 ‘한’은 어떤 낱말 앞에 붙어서 ‘크다’는 뜻을 더해 주는 우리 고유의 말이다. 그래서 ‘한가위’는 ‘음력 8월 또는 가을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날’이라고 의미를 풀이할 수 있다.
‘한’이 붙어서 ‘크다’의 의미가 더해진 단어로는 ‘한가위’ 외에도 ‘사람이 많이 다니는 큰길’인 ‘한길’, ‘우리의 큰 글’이란 뜻의 ‘한글’ 등이 있다. ‘한가위’란 명절에 이처럼 ‘크다’는 뜻의 접두사를 붙이는 것은 추석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명절인 까닭도 있겠고 또한 이 시기가 오곡백과가 탐스럽게 익는 계절이라 일 년 중 가장 먹을 것이 풍족한 계절인 까닭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추석 명절에 우리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덕담을 서로에게 주고받는다.
올해 추석을 맞이하여 독자들의 가정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와 같은 풍요로움과 넉넉함이 가득하기를 빈다.
유지철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