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꽤 오래 전의 일이다. 애국가 가사 중 “남산 위에 저 소나무”는 “남산 위의 저 소나무”의 잘못이니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한 분이 있었다. 조사 ‘의’는 흔히 [에]로 발음하는데, 그 발음에 이끌려 표기까지 ‘에’로 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발음은 그렇게 하더라도 표기는 당연히 ‘의’로 해야 한다. 그런데 ‘남산 위에’는 발음에 이끌려 ‘에’로 잘못 적은 경우라는 게 제언자의 주장이다.
이분의 주장처럼 애국가 가사의 맞춤법이 틀렸다면 큰일이다. 윤치호 선생의 1907년 자필 가사도 ‘남산 우헤’ 즉 현대어로 ‘남산 위에’이니, 유구한 역사 동안 어법에도 안 맞는 애국가를 불러 온 셈 아닌가.
그러나 애국가 가사는 일종의 시요, 따라서 문제의 ‘남산 위에’는 시적 표현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시적 간결함을 추구하여 ‘남산 위에 있는 저 소나무’와 같은 표현에서 ‘있는’을 생략한 결과일 수 있는 것이다. 동요작가 권오순이 지은 ‘구슬비’도 “송알송알 싸리잎에 은구슬 대롱대롱 거미줄에 옥구슬”로 시작하는데, 이는 ‘싸리잎의, 거미줄의’의 잘못이 아니라 역시 서술어가 생략된 시적 표현일 수밖에 없다.
시로서의 애국가의 특성은 곳곳에 보인다. 이어지는 구절 ‘바람서리 불변함은’도 ‘바람서리에 불변함은’에서 조사 ‘에’를 생략한 것이요,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역시 일반적인 서술 구조가 아니라 시적 축약이요 변형이다. 따라서 ‘남산 위에’를 굳이 ‘의’의 잘못으로 보기보다는 아름다운 시적 표현의 하나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은 시로써 노래로써 표현할 때 더 간절하게 다가올 수 있는 것 아닐까.
허철구 창원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3,175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19,615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3,787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288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370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261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219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227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250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246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220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218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331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264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362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779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783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839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750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288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311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278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432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