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페미니즘
곁다리가 결정적일 때가 많다. ‘3개 천원’보다 ‘2개 천원인데 1개 더 줌’이 탐심을 더 자극한다. 차의 기본 성능보다 선팅, 블랙박스를 얼마나 좋은 걸로 끼워주느냐로 차를 살지 말지 정한다. 자주 가는 식당 주인장은 뭘 시켜도 서비스로 두부볶음을 내온다. 단골이 안 될 도리가 없다.수
수식어는 ‘서비스 상품’ 같은 존재다. 크게 중요하지 않아 허투루 넘기는데, 판단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다. 수식어의 의미는 수식 받는 말에 기대어 천방지축 뒤바뀐다. ‘좋은 아버지’, ‘좋은 차’, ‘좋은 책’을 생각해보라. 각각 무엇이 ‘좋은가?’에 대한 판단은 ‘아버지, 차, 책’이 갖는 특성이나 우리의 경험이 결부된다. 좋은 아버지는 좋은 차와 다르다. ‘쌩쌩 잘 달리고, 연비 좋고(?), 부딪쳐도 안전한(푹신푹신한?)’ 아버지가 좋은 아버지일 리 없다.
수식어가 무서운 건 말하는 사람이 대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규정하는지가 수식어에 담기기 때문이다. 수식어는 대상을 한정하고 분류한다. 수식어 때문에 본심과 밑바닥이 드러난다. ‘착한 소비’가 우리의 소비를 착한 것과 착하지 않은 것으로 나누듯, ‘건강한 페미니즘’도 페미니즘을 건강한 것과 건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눈다. ‘건강한’ 페미니즘이란 ‘건전한(?), 온건한, 무해한, 전복적이지 않은, 불온하지 않은, 고분고분한’ 페미니즘이겠지.
수식어를 빼고 말하는 게 대인배의 풍모다. ‘페미니즘이 남녀 간의 건전한 교제를 막는다!’ 얼마나 많은 토론거리를 던져주는 주제인가. 아차차, 수식어를 더 빼야겠군. ‘페미니즘이 교제를 막는다.’
몸짓의 언어학
말을 안 하면 사람 마음을 어떻게 아냐고? 하는 짓을 보면 알지.친한 친구를 10년 만에 만난다면 당신은 어떤 몸짓을 할까? 꼴도 보기 싫은 자가 엘리베이터 안으로 들어온다면? 우리는 마음속에 일렁이는 기분이나 상대방에 대한 태도를 몸으로 나타낸다. 몸짓은 기분의 표출이자 태도의 표명이다.
사람은 말보다 몸짓이 전하는 메시지를 훨씬 더 빠르고 정확히 알아차린다고 한다. 말은 끝까지 들어봐야 하지만, 몸짓은 ‘척 보면 안다’. 200여개의 짤막한 영상을 보여주고 배우의 감정을 판단하는 실험을 했는데 사람들이 너무 쉽게 맞혔다고 한다. 노출 시간을 점점 줄여봤더니, 놀랍게도 24분의 1초(0.04초)만 보아도 3분의 2 이상을 맞혔다.
말처럼 몸짓도 대화적이다. 그런데 우리는 자신의 몸짓에 대해선 의식을 못 한다. 상대의 몸짓이 나에 대한 반응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그 사람의 특성이라고만 생각한다. 몸짓이 나와 너의 상호작용이라면, 거기에는 무언의 권력관계가 새겨져 있다. 따로 배우지 않았을 텐데도, 힘 있는 사람은 얼굴에 온갖 표정을 숨김없이 짓고, 상대방의 코앞까지 자신의 얼굴을 디밀고, 눈을 빤히 쳐다볼 수 있다. 손바닥으로 책상을 내리칠 수도, 뒷짐을 지거나 바지주머니에 손을 집어넣을 수도, 다리를 쩍 벌리고 의자를 좌우로 돌릴 수도, 악수하자며 손을 내밀거나 팔이나 어깨를 툭 칠 수도 있다. 이걸 아랫사람이 한다고 상상해 보라.
그러니 몸짓을 개인의 습관이나 남녀의 생물학적 특성으로 돌려선 안 된다. 그가 속한 계급이 갖는 집단 무의식이다. 목소리를 지우고 보면 더 잘 보인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