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엔 저지른다
뻔한 얘기지만 양반과 상민을 구별하는 사회는 능력과 상관없이 날 때부터 한 사람이 가게 될 삶의 방향이 얼추 정해져 있다. 인류사는 삶의 향배가 미리 정해진 사람의 수를 줄여온 역사다.
그런데 태생부터 꼬리표를 달고 사는 말이 있다. 사람들은 말에 여러 ‘가치’를 부여하는데, 보통은 부정 또는 긍정의 꼬리표를 달아 놓는다. 사전의 뜻보다 이렇게 은근히 달아 놓은 가치의 꼬리표가 영향력이 더 크다. 인간의 소통은 정보 공유보다는 감정과 평가의 교류가 목적인지도 모른다. 낙인은 은밀하되 노골적이다. 나도 ‘똑똑하다’는 말보다 ‘잘난 척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그러거나 말거나). 비슷한 모습이어도 ‘검소한’ 사람과 ‘인색한’ 사람은 전혀 다르다. ‘당당하다, 늠름하다, 굳세다’와 ‘도도하다, 되바라지다, 건방지다, 드세다’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차별의 강이 놓여 있다.
‘저지르다’는 ‘죄를 짓거나 잘못을 범한다’는 뜻이다. 아예 단어 자체에 ‘죄나 잘못’이 적혀 있는 듯하다. 그래서인지 ‘저지르다’ 앞에는 ‘범죄, 범행, 죄, 잘못’ 따위의 낱말이 드글거린다. 부정적인 힘이 하도 강해 ‘일’처럼 중립적인 말도 전염시켜 ‘일을 저지르다’라고 하면 뭔가 잘못을 범한 것 같다.
말의 교란과 삶의 확장은 이렇게 달린 꼬리표를 ‘분연히’ 떼어낼 때 일어난다. 아이들은 ‘저지레’를 하며 자란다. ‘저지르다’가 새로운 시도나 도전의 의미로, 궁극에 가서는 ‘감행’과 ‘전복’의 의미를 얻을 때까지 올해는 전에 없던 의지로 일을 저지르자.
……………………………………………………………………………………………………………
‘죄송하지만’
감정을 싣지 않고 말하기도 어렵지만, 감정을 싣지 않고 해석하는 건 더 어렵다. 무술을 배우기 시작하고 얼마 안 지나 독일계 캐나다인인 샤론은 내 눈을 쳐다보며 당장 손톱을 깎으라고 말했다. 손톱이 길면 수련 중에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타투 예술가인 보리아는 나를 던지다가 내 안경이 바닥에 떨어지자 사과는커녕 다음 시간부터는 안경을 고정시킬 줄을 구해 오라고 했다. 그들은 관계의 깊이보다는 내용 자체(메시지)를 얼마나 적확하게 표현하느냐에 집중했다. 잘 모른다고 우회하지 않고 단도직입적으로 말했다.
한국처럼 배려하기와 눈치보기가 뒤엉킨 사회에서 사람들은 할 말을 제대로 못 한다. 위력을 앞세운 막말은 난무하지만 힘의 차이를 뛰어넘는 ‘평등한 말하기’란 어렵다. ‘이렇게 말하면 상대방이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부터 한다. 말을 꺼낼지 말지부터 고민이니, 애써 말을 꺼내도 말을 휘휘 돌리게 된다. 엉겁결에 튀어나오는 말이 ‘죄송하지만’이다. 관계에 기름칠하는 말이다. 공공장소에서 심하게 떠드는 사람에게 “죄송하지만, 조용히 해주세요”라고 한다. 건질 게 하나도 없는 말을 듣고도 “말씀 잘 들었습니다”라는 빈말을 한다.
‘죄송하지만’으로 말을 시작한다는 건, 역설적이게도 우리가 세운 사회질서와 사회적 삶이 태생적으로 취약하다는 걸 보여준다. 나의 말걸기가 ‘정상적인’ 기존 질서를 방해하는 게 아닐까 걱정할 때마다, 한국어라는 언어생태의 보수성을 거듭 확인하고 우리 사회의 불안전성을 절감하게 된다. 사회적 안전함이 단도직입적 말하기를 가능하게 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