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열등감
한국인들의 영어 열등감은 특히 남다르다. 그로 말미암아 영어 능력에 대한 비상식적인 상식들도 넘쳐난다. ‘본토 발음’, ‘원어민’, ‘미국인들도 깜짝 놀라는’, ‘국제회의에서 박수갈채를 받았다’ 같은 표현과 수사에는 우리가 ‘영어 능력’에 대해 얼마나 황당한 가치와 망상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준다.
영어의 ‘본토 발음’은 단정 짓기 어렵다. 세계화되면서 그 본토가 어딘지도 모호해졌다. ‘원어민’이란 말은 그저 사교육 시장의 업자들이 애호하는 용어일 뿐이다. 역시 세계화된 영어의 원어민도 점점 모호해진다. 그저 백인 교사를 선호하는 인종적 편견을 부채질한다.
‘미국인들이 깜짝 놀라는 영어’에 대해 그리 부러워할 필요는 없다. 미국인들은 성실히 하는 영어에 얼마든지 기꺼이 깜짝 놀라 주는 매너를 가지고 있다. 또 국제회의에서는 잘하든 못하든 연설이 끝나면 모두 열심히 박수를 쳐 준다.
최근에 임명된 외교부 장관에 대한 찬사 가운데 좀 민망한 부분이 영어 실력에 대한 과도한 찬양이다. 외국어를 잘한다는 것은 부러워할 일이기는 하지만 외교 수장에게는 언어 능력보다 상황을 판단하는 능력, 국가와 국민의 이익을 판별해내는 능력 등에 더 주목해야 하지 않을까?
신임 외교부 장관의 가장 탁월한 발언은 영어가 아닌 한국어로 국회에서 위안부 합의에 대해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 빠진 것 같다는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세월호, 강남역 살인, 구의역 지하철 사고 등등 우리를 아프게 했던 많은 사건들, 또 나아가 국제적으로 팔레스타인 문제, 난민 문제 등의 바탕에는 피해자, 곧 약자에 대한 유대감 결핍이 있는 것 아닌가. 그의 영어가 아닌 그의 식견을 칭찬하고 박수 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첫번째 일일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
몸에 닿는 단위
우리는 길이는 미터, 무게는 킬로그램, 부피는 리터 등의 단위로 표시함으로써 사물의 양을 정밀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양을 정확히 표시하지 못하면 상품 거래와 기술 공유에 치명적인 오류가 일어난다.
그러나 그 수량 단위도 일단 언어이니만큼 관습이나 전통에 따른 다양한 통속적 변종이 있을 수밖에 없다. 요즘은 미터법을 법정 단위로 쓰고 있어서 공적인 문서나 계약서에는 다른 변종 단위를 쓰지 못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상거래에는 미터법이 국제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면도 있고, 또 일부 미터법이 우리의 수량 관념을 잘 드러내 주지 못하는 면도 있다.
종종 국제 석유값에 대한 보도를 보면 하나같이 ‘배럴’을 단위로 하여 국제가격을 표시한다. 반면에 우리의 일상생활은 ‘리터’로 이어나간다. 국내 소매가격 결정 구조가 회사마다 영업소마다 차이가 있는 탓이 아닌가 하지만 왜 하루하루 몇 리터의 기름으로 살아가는 보통사람이 배럴당 기름값을 알아야 하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 된다.
부동산 가격에는 ‘제곱미터’를 사용해야 하지만 아직 ‘3.3제곱미터’로 사실상 평수를 구차스럽게 표기한 사례도 적지 않다. 대지나 주택의 넓이를 표시하는 평수는 우리의 생활 감각과 매우 깊은 관계에 있다. 어느 고위 공직자가 어느 동네에서 몇 평짜리 아파트에 살고 있는지를 알면 우리는 그가 얼마나 소박하게 살아왔는지 혹은 흥청망청 살아왔는지 알아낼 수 있는 뛰어난 감각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합리적인 상거래를 위해서 표준단위를 법제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보통사람들이 가지는 통속적인 언어 수요도 가볍게 무시해 버릴 것은 아니라고 본다. 정식 공문서에는 들어가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신문 보도에는 보완적인 용어로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않을까 한다. 민속적으로 의미 있는 어휘를 법정 개념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렇게 배제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