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말들
얘는 ‘이 아이’, 쟤는 ‘저 아이’를 줄인 말이다. 아이는 ‘애’로 줄어든다.
‘가랬지’는 ‘가라고 했지’, ‘간대’는 ‘간다고 해’, ‘보재’는 ‘보자고 해’, ‘놀재’는 ‘놀자고 해’가 본말이다.
‘보자고 했다’를 줄이면 ‘보쟀다’가 된다.
‘-ㄴ대’는 ‘-ㄴ다고 해’, ‘-ㄴ대서야’는 ‘-ㄴ다고 하여서야’, ‘-ㄴ다니까’는 ‘-ㄴ다고 하니까’가 줄어든 말이다.
준말들
얘는 ‘이 아이’, 쟤는 ‘저 아이’를 줄인 말이다. 아이는 ‘애’로 줄어든다.
‘가랬지’는 ‘가라고 했지’, ‘간대’는 ‘간다고 해’, ‘보재’는 ‘보자고 해’, ‘놀재’는 ‘놀자고 해’가 본말이다.
‘보자고 했다’를 줄이면 ‘보쟀다’가 된다.
‘-ㄴ대’는 ‘-ㄴ다고 해’, ‘-ㄴ대서야’는 ‘-ㄴ다고 하여서야’, ‘-ㄴ다니까’는 ‘-ㄴ다고 하니까’가 줄어든 말이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3632 | 보모(保姆) | 風文 |
3631 | 꿀 | 風文 |
3630 | 불규칙용언 (4) | 風文 |
3629 | 지명(地名)의 장단음 | 風文 |
3628 | 긴팔과 긴소매 | 風文 |
3627 | 불규칙용언 (3) | 風文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3622 | 손글씨 | 風文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