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렷다’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예스러운 표현이다. 아랫사람이거나 친구 등 ‘해라’라고 할 수 있는 상대에게 사용한다.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쓰인다.‘이르는 대로 거행하렷다.’ ‘이실직고하렷다.’ 경험이나 이치로 미루어 틀림없이 그러할 것임을 추측하거나 다짐하는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바로 네가 길동이렷다.’‘내일 그자가 나타나렷다.’
‘렷다’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예스러운 표현이다. 아랫사람이거나 친구 등 ‘해라’라고 할 수 있는 상대에게 사용한다.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쓰인다.‘이르는 대로 거행하렷다.’ ‘이실직고하렷다.’ 경험이나 이치로 미루어 틀림없이 그러할 것임을 추측하거나 다짐하는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바로 네가 길동이렷다.’‘내일 그자가 나타나렷다.’
∥…………………………………………………………………… 목록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씨(氏)’
‘믿음직하다’와 ‘믿음 직하다’
1시 1분
짠내
‘-다랗다’
자음보다 모음을 먼저 익혀야
‘표’와 ‘촛불’
접미사 (4)
게장과 개장
불맛
접미사 (3)
장애는 불편할 뿐 불행하지 않습니다
비혼(非婚)
접미사 (2)
재미있는 한글 이야기
꽃길
접미사 (1)
쉬운 말과 글
‘짤방’과 ‘짜르다’
불규칙용언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