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티
땅이나 돌, 나무 따위를 잘못 다루면 지신(地神)은 화가 난다. 그리고 재앙을 가져온다.‘동티’다. 이런 믿음이 있다. 여기서 의미가 확장돼 쓰인다. 그냥 둬야 할 것을 공연히 건드려 일이 잘못됐을 때 비유적으로 많이 쓴다.“괜히 참견해 던진 말이 동티가 됐다.” 동티는 동토(動土)에서 왔다. 동토는 건드려서는 안 될 땅을 파는 일을 뜻한다.
동티
땅이나 돌, 나무 따위를 잘못 다루면 지신(地神)은 화가 난다. 그리고 재앙을 가져온다.‘동티’다. 이런 믿음이 있다. 여기서 의미가 확장돼 쓰인다. 그냥 둬야 할 것을 공연히 건드려 일이 잘못됐을 때 비유적으로 많이 쓴다.“괜히 참견해 던진 말이 동티가 됐다.” 동티는 동토(動土)에서 왔다. 동토는 건드려서는 안 될 땅을 파는 일을 뜻한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
바람의종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3653 |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 바람의종 |
3652 |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 바람의종 |
3651 | 언어의 가짓수 | 바람의종 |
3650 | 상일꾼·큰머슴 | 바람의종 |
3649 | ‘기쁘다’와 ‘즐겁다’ | 바람의종 |
3648 | 언어 분류 | 바람의종 |
3647 | 떼부자 | 바람의종 |
3646 | 단소리/쓴소리 | 바람의종 |
3645 | ‘부럽다’의 방언형 | 바람의종 |
3644 | ‘우거지붙이’ 말 | 바람의종 |
3643 | 쉬다와 놀다 | 바람의종 |
3642 | 방언은 모국어다 | 바람의종 |
3641 | 청소년의 새말 | 바람의종 |
3640 | 우리 | 바람의종 |
3639 | 분루 | 바람의종 |
3638 | 사투리와 토박이말 | 바람의종 |
3637 | 경제성 | 바람의종 |
3636 | 외국어와 새말 | 바람의종 |
3635 | 알타이말 | 바람의종 |
3634 | 정서적 의미 | 바람의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