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 수 14,377 추천 수 8 댓글 0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북한의 이른바 나라꽃은 진달래꽃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그들에 따르면 조선의 국화는 목란꽃이다. 북한의 <조선말대사전>(2007)에는 ‘목란꽃’은 “목란의 꽃. 향기롭고 아름다운 흰 꽃으로서 조선의 국화이다. …”로 되어 있고, 또 “목란꽃! 그것은 수령님께서 몸소 지어 주신 꽃 이름이다”라고도 나와 있다. 자료를 보면 1964년 5월 김일성 주석이 황해북도의 어느 휴양소에 들렀을 때 이 나무의 이름을 ‘목란’(나무에 피는 난)으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그러니까 결국 북한의 나라꽃은 목란꽃인데 흰 목련을 말하며 이름은 김일성 주석에게서 유래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런데 남한의 <국어대사전>(금성출판사, 1992)에는 ‘목란’에 대하여 “=목련”이라고 풀이하고 있어 김일성 주석 이전에 이미 남한에도 목란이라는 말이 있어 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김 주석의 작명설은 근거가 희박하다.
그 뒤 필자는 우리의 흰 목련과 북한의 목란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오래도록 고심한 일이 있다. 그리고 강원도 강릉 출신의 국어학자와의 우연한 대화를 통하여 강릉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하얀 산목련을 목란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이 목란꽃을 공식적으로 국화로 지정한 것은 1991년 4월10일의 일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6,049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2,389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6,718 | 2006.09.09 |
3626 |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 바람의종 | 23,649 | 2007.07.24 |
3625 |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 바람의종 | 14,626 | 2007.08.31 |
3624 | 언어의 가짓수 | 바람의종 | 13,831 | 2007.09.26 |
3623 | 상일꾼·큰머슴 | 바람의종 | 13,605 | 2007.09.28 |
3622 | ‘기쁘다’와 ‘즐겁다’ | 바람의종 | 13,913 | 2007.09.29 |
3621 | 언어 분류 | 바람의종 | 14,234 | 2007.10.06 |
3620 | 떼부자 | 바람의종 | 12,483 | 2007.10.08 |
3619 | 단소리/쓴소리 | 바람의종 | 12,365 | 2007.10.09 |
3618 | ‘부럽다’의 방언형 | 바람의종 | 10,683 | 2007.10.11 |
3617 | ‘우거지붙이’ 말 | 바람의종 | 11,455 | 2007.10.13 |
3616 | 쉬다와 놀다 | 바람의종 | 10,871 | 2007.10.14 |
3615 | 방언은 모국어다 | 바람의종 | 9,547 | 2007.10.16 |
3614 | 청소년의 새말 | 바람의종 | 11,998 | 2007.10.17 |
3613 | 우리 | 바람의종 | 9,821 | 2007.10.18 |
3612 | 분루 | 바람의종 | 11,809 | 2007.10.19 |
3611 | 사투리와 토박이말 | 바람의종 | 10,915 | 2007.10.20 |
3610 | 경제성 | 바람의종 | 10,463 | 2007.10.21 |
3609 | 외국어와 새말 | 바람의종 | 10,920 | 2007.10.22 |
3608 | 알타이말 | 바람의종 | 10,741 | 2007.10.23 |
3607 | 정서적 의미 | 바람의종 | 10,516 | 200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