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고리
사람이름
야인 이름에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람이름과 비슷한 것들이 눈에 띈다. 야인 이름 가운데는 ‘오·로’로 끝나는 이름도 적잖다.
‘거여로·노화로·다하로·도보로·망가로·부가로·삼바로·샤로·소기로·아가로·모다오·야시우·옴소오’들이 보인다. 이런 요소는 일본사람 이름에도 보이는데, 야인 이름과 관계가 있을 법하다.
한반도의 ‘도로/되로·마로·미라로·보로·소로·야로·을소로’도 이런 보기일 것이다. 이름접미사에서 한반도의 ‘-수’는 야인의 ‘-소/-수와 잇닿아 있다. 야인 이름에 ‘갈수·굼소·볼고소·아라소·어부로소·얼수·이하소’가 보인다.
더불어 야인 이름 ‘몰오·솔오·숑고로·수구로’는 한반도의 ‘몰로이·솔이·송고리·수구리’와, ‘벌거·샹자·수사·수허·어부커·판차’는 한반도의 ‘벌개·샹재·수새·수허리·어부개·번재’에 해당된다.
이런 음운 대응을 살필 때, 이름접미사 ‘-소/-수’에 ‘ㅣ’가 더해져 ‘-쇠’가 되었거나, ‘-쇠’에서 ‘ㅣ’가 빠져 ‘-소/-수’가 된 듯하다. 두 지역어가 방언학적 연장선에 있었다 할 수 있다.
역사는 오랜 세월의 축적이다. 조선 초만 해도 고구려 후예인 야인들과 문화 연속체를 이루며 산 듯하다. 그러다 조선 왕조가 사대를 앞세워 그들과 공존하지 못하는 사이, 청나라를 세운 그들에게 조선은 무참히 짓밟히고 말았다.(병자호란)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3,739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0,207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4,415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348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453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300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273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278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319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285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318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286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400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331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398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874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848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876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788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341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354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349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494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