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성
외래어
많은 이들이 한꺼번에 움직이니까 명절에 고향을 찾아가는 길은 으레 막히고 밀리기 마련이었는데, 눈이 많이 온 지난 설에는 특히나 고생스러웠다. 서울에서 그리 멀지 않은 서해대교를 건너는 데 15시간이 넘게 걸렸을 정도니 말이다. 이웃 중국도 우리나라 못지 않게 난리를 치렀다니 동병상련인지 친밀감마저 든다.
명절에 고향을 찾아가는 일을 ‘귀성’(歸省)이라 하는데, 왜 ‘귀향’(歸鄕)이라고 하지 않을까?
‘귀성’은 현대 일본어에서도 흔히 쓰이는 말이어서 그쪽 한자어가 들어온 게 아닐까 싶지만, 그렇지는 않은 듯하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옛 문헌에서는 고려 사람 이색(1328~1396)의 시에 이미 등장하기 때문이다. 중국 쪽 기록을 보면 당나라 때 인물인 주경여(797~?)의 시에서부터 쓰인 기록이 나온다. 그런데 중국어 사전에서 ‘귀성’은 ‘고향에 돌아가 부모님을 살핀다’(回鄕省親, 回家探親)는 뜻이므로, 성(省)은 ‘마을’이나 ‘고향’이 아니라 ‘(부모님과 조상의 묘를) 살핀다’는 뜻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명절이라고 단지 고향에 가는 것으로 그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부터 타향에 나가 사는 사람은 정기적으로 고향에 가서 부모님과 조상의 묘를 돌보았다. 조선 때 관료들도 기일과 명절에는 공식 휴가를 얻어서 귀성하였다고 한다. 이런 전통을 받들어 우리 민족의 귀성 행렬은 꿋꿋하게 이어졌던 것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5,314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1,736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6,016 | 2006.09.09 |
3626 |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 바람의종 | 23,623 | 2007.07.24 |
3625 |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 바람의종 | 14,592 | 2007.08.31 |
3624 | 언어의 가짓수 | 바람의종 | 13,806 | 2007.09.26 |
3623 | 상일꾼·큰머슴 | 바람의종 | 13,558 | 2007.09.28 |
3622 | ‘기쁘다’와 ‘즐겁다’ | 바람의종 | 13,878 | 2007.09.29 |
3621 | 언어 분류 | 바람의종 | 14,201 | 2007.10.06 |
3620 | 떼부자 | 바람의종 | 12,451 | 2007.10.08 |
3619 | 단소리/쓴소리 | 바람의종 | 12,312 | 2007.10.09 |
3618 | ‘부럽다’의 방언형 | 바람의종 | 10,651 | 2007.10.11 |
3617 | ‘우거지붙이’ 말 | 바람의종 | 11,436 | 2007.10.13 |
3616 | 쉬다와 놀다 | 바람의종 | 10,844 | 2007.10.14 |
3615 | 방언은 모국어다 | 바람의종 | 9,536 | 2007.10.16 |
3614 | 청소년의 새말 | 바람의종 | 11,954 | 2007.10.17 |
3613 | 우리 | 바람의종 | 9,794 | 2007.10.18 |
3612 | 분루 | 바람의종 | 11,791 | 2007.10.19 |
3611 | 사투리와 토박이말 | 바람의종 | 10,880 | 2007.10.20 |
3610 | 경제성 | 바람의종 | 10,453 | 2007.10.21 |
3609 | 외국어와 새말 | 바람의종 | 10,907 | 2007.10.22 |
3608 | 알타이말 | 바람의종 | 10,722 | 2007.10.23 |
3607 | 정서적 의미 | 바람의종 | 10,502 | 200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