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자테 너인테
고장말
‘-자테’는 표준어 ‘-한테’나 ‘-에게’에 대응하는데, 주로 경상·전남 쪽에서 쓰인다. “공부도 니자테 뒤떨어지고 뭣을 해가 니자테 이겨 볼라고 애를 썼다 이기라.”(<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도사자테 그래 물으이까네.”(<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자테’는 ‘곁’과 조사 ‘-에’가 결합된 말로, ‘겨테>져테>저테>자테’와 같은 변화를 겪었다.(‘길>질’, ‘기름>지름’과 같은 현상) 그래서 ‘자테’는 ‘곁에’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저그 할마이가 어떠쿰 거시났던지(사납던지) 당채 자테(곁에) 가지 못 하는기라.”(위 책)
‘-한테’와 대응하는 고장말로 ‘-인데’, ‘인테’, ‘-항께’, ‘-신듸’ 등도 있다. ‘-인데’는 경상·함북·만주, ‘-인테’는 강원·충북·경상·만주, ‘-항께’는 경상, ‘-신듸’는 제주에서 쓰인다. ‘-인데’는 ‘있다’의 활용형 ‘있는데’가 조사로 굳어진 것이며, ‘인테’는 ‘인데’와 ‘한테’가 합친 말이다. “자가 말있는데(말에게) 채서 허리를 다챘심더.”(<조선 언어학 시고> 김병제) “남인테 좋치 못한 일을 한 기 아니냐?”(<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동생항께 쥑이 삔다고 말했심더.”(위 책 경상편) “개인테는 고기를 주고 저 쫓아 온 사람한테는 가죽을 줘라.”(위 책 충북편) “어멍이 몬저 알아가지고 아달신듸 전달을 하여 불었어.”(제주)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 read more
- read more
- read more
-
성씨(姓氏)의 장단음
-
흙밥과 흙수저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외래어의 받침
-
손글씨
-
불규칙용언 (1)
-
받침과 대표음
-
간식(間食)의 순화어
-
모음조화
-
관용구와 속담
-
고급지다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단위명사
-
혼밥과 혼술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웃프다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아저씨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