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석수염
북녘말
남북은 ‘겨레말 큰사전’ 편찬에 쓸 새말을 조사하고 있다. 새말이란 최근 들어 만든 말(신어)을 가리킨다. 겨레말큰사전 편찬에서는 국어사전에 미처 실리지 못한 말(미등재어)도 새말에 포함한다. 새말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고, 공동 편찬 회의에서는 지금까지 5차에 걸쳐 5000여 새말이 교환됐다. 북녘에서 나온 새말 가운데 ‘푸석수염’이 있다.
“광대뼈가 두드러진 아래로 길쭉하니 내리패인 호물때기 볼에 한도리 감아붙인것 같은 구레나루와 입술이 푹 파묻힌 푸석수염에는 잔고드름들이 그득 매달렸다.”(류근순 <병기창에서>, <조선문학> 1968년 2-3호)
푸석수염은 ‘푸석푸석하게 자란 수염’이다. 이는 ‘푸석푸석한 피부에 거칠게 난 수염 혹은 수염 자체가 푸석푸석한 것’ 등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석’과 관련된 말로 ‘푸석돌·푸석살·푸석이·푸석흙’ 등이 있다. 모두 ‘푸석푸석한 무엇’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북녘에서는 ‘푸석돌’과 같은 뜻의 ‘퍼석돌’도 쓴다. ‘푸석이’는 북녘에서 ‘푸서기’로 쓰고, 물건과 사람을 모두 가리킨다. 곧 ‘부서지기 쉬운 물건’, ‘옹골차지 못한 사람’을 이른다. ‘푸석흙’은 ‘경조토’(輕燥土)를 다듬은 말로 보인다.
‘푸석푸석하다’와 ‘퍼석퍼석하다’는 비슷한 뜻인데, ‘퍼석퍼석하다’는 ‘원래 물기가 좀 있다가 없어진 상태’에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사과가 퍼석퍼석하다”, “무가 오래되어 퍼석퍼석하고 맛이 없다” 등에서 ‘푸석푸석하다’를 대신 쓰면 좀 어색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5,815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2,207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6,488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645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655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561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493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404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593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509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536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449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568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576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566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118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068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172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1,099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682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565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593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785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