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산과 진내을
금산은 본래 백제의 진내을군(進乃乙郡)이었다. 이 이름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경덕왕 때 진례군으로 고쳐 불렀다. 금산은 노령산맥과 소백산맥이 만나는 곳에 이뤄진 산지로, 금강이 굽이져 흐르는 명승지이자 인삼 재배지로 유명한 곳이다. 금산은 ‘경양’ 또는 ‘금계’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진내을’이 ‘금계’로 불린 까닭은 ‘진’이 무엇을 뜻하는 말인지는 덮어두더라도 ‘내을’이 ‘시내’를 뜻하는 ‘내’이기 때문인 것은 쉬 짐작할 수 있다.
구한말 채헌식의 문집인 <후담문집>의 ‘소계정기’에는 “대저 시내라는 것은 강과 물의 원류로, 그것을 사랑하여 취하는 사람이 많으니, 옛날 사람들이 이른바로 초계(苕溪) 삽계(?溪) 섬계(剡溪)는 은사들의 휴식처이며, 우계(愚溪), 원화계(院花溪)는 문장의 주제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는 구절이 나온다. 초계는 갈대가 무성한 시내이며, 삽계는 가랑비처럼 흐르는 시내, 섬계는 좁게 굽이져 흐르는 시내, 우계는 밋밋하게 흐르는 시내다. 또한 원화계는 끊이지 않고 흐르는 시냇물이니 ‘진내을’의 ‘진’은 ‘긴 냇물’이 변한 ‘진 냇물’인 셈이다.
금산의 역사를 살피건대 석기시대 유물도 나오지만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 조헌, 그리고 이치 전투 등과 같이 우리 겨레의 끈기가 묻어나는 인물과 일들이 매우 많다. 후담 선생이 여러 종류의 시냇물이 은사들을 반길 만한 조건을 갖춘 것으로 표현했듯이, 고고한 선비 정신과 민족의 끈기 있는 삶의 모습이 금계 곧 진내을 속에 담겨 있음이 틀림없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4,174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0,636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4,877 | 2006.09.09 |
3626 |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 바람의종 | 23,569 | 2007.07.24 |
3625 |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 바람의종 | 14,475 | 2007.08.31 |
3624 | 언어의 가짓수 | 바람의종 | 13,697 | 2007.09.26 |
3623 | 상일꾼·큰머슴 | 바람의종 | 13,455 | 2007.09.28 |
3622 | ‘기쁘다’와 ‘즐겁다’ | 바람의종 | 13,802 | 2007.09.29 |
3621 | 언어 분류 | 바람의종 | 14,125 | 2007.10.06 |
3620 | 떼부자 | 바람의종 | 12,445 | 2007.10.08 |
3619 | 단소리/쓴소리 | 바람의종 | 12,301 | 2007.10.09 |
3618 | ‘부럽다’의 방언형 | 바람의종 | 10,619 | 2007.10.11 |
3617 | ‘우거지붙이’ 말 | 바람의종 | 11,386 | 2007.10.13 |
3616 | 쉬다와 놀다 | 바람의종 | 10,833 | 2007.10.14 |
3615 | 방언은 모국어다 | 바람의종 | 9,533 | 2007.10.16 |
3614 | 청소년의 새말 | 바람의종 | 11,933 | 2007.10.17 |
3613 | 우리 | 바람의종 | 9,779 | 2007.10.18 |
3612 | 분루 | 바람의종 | 11,783 | 2007.10.19 |
3611 | 사투리와 토박이말 | 바람의종 | 10,862 | 2007.10.20 |
3610 | 경제성 | 바람의종 | 10,430 | 2007.10.21 |
3609 | 외국어와 새말 | 바람의종 | 10,900 | 2007.10.22 |
3608 | 알타이말 | 바람의종 | 10,701 | 2007.10.23 |
3607 | 정서적 의미 | 바람의종 | 10,476 | 200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