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거제도(巨濟島)는 남해에 있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다. 이 섬 이름이 한 때는 ‘상군’(裳郡)이라 불렸다. 뜻으로 본다면 ‘치마’인 셈인데, 이 섬을 ‘치마’와 연관지어 부를 만한 연유를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최남선의 <동경통지>에서는 거제를 상군으로 부른 연유를 두고 한 구절 설명을 덧붙인 바 있다. ‘치마’를 뜻하는 속어로 ‘두룽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두룽이’라는 말을 문헌에서 찾을 수는 없다. 그러나 비가 올 때 입는 ‘도롱이’는 짚이나 띠로 만들어 허리에 매어 입었으므로 ‘치마’를 뜻하는 ‘두룽이’가 속어로 쓰였다는 이야기는 충분한 근거가 있다.
‘두룽이’의 한자 표기는 ‘독로’(瀆盧)인데 우리말의 ‘도랑’에 해당하는 말이다. ‘도랑’이나 ‘두룽이’, 그리고 ‘도롱이’는 모두 ‘두르다’ 또는 ‘돌다’에서 파생된 명사다. 우리말에서 ‘두르다’에서 나온 명사는 흔치 않지만 ‘돌다’에서 파생된 말은 비교적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도리’는 ‘둘레’를 뜻할 때와 ‘주기’를 뜻할 때 쓰인다. ‘도리 기둥’이나 ‘두리 기둥’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돌려 얹히는 나무를 뜻한다.
거제의 땅이름이 치마나 비옷을 뜻하는 ‘두룽이’ 또는 ‘도롱이’였던 까닭은 섬 주위로 물길이 돌아들기 때문이었다. 외형상으로 전혀 무관해 보이는 ‘독로’, ‘상군’, ‘거제’가 모두 섬의 지형과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러한 말이 변화해 가는 과정에서도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관계가 성립된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일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80,426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6,599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41,048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801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819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702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631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656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760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690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682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641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719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745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749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315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206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344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1,247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827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723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793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924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