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량·울돌목
울돌목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왜적을 물리친 싸움터로 이름 높다. 울돌목은 말 그대로 ‘울다’와 ‘돌다’에 땅이름을 나타내는 ‘목’이 합친 이름이다. 이처럼 땅이름에서도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바탕 말이 많다. 왜군의 재침이 있던 정유년, 이순신의 <정유일기> 9월16일치에는 “갑오일 날씨 맑음. 아침 일찍 망을 보던 군사가 무려 이백여 척의 적선이 명량으로 곧바로 들어와 결진한 곳으로 향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는 기록이 들어 있다.
‘명량’(鳴梁)은 ‘울돌목’의 한자 표기다. ‘명’(鳴)이 ‘울다’에 해당하고, ‘량’(梁)은 ‘징검다리’ 또는 ‘다리’의 뜻을 가진 한자다. ‘울돌목’이 ‘명량’으로 바뀐 까닭은 ‘목’과 ‘량’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목’이란 통로 가운데 다른 곳으로는 빠져나갈 수 없는 좁은 부분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신체의 일부인 목이나 길에서 좁아지는 부분을 나타낼 때도 이 말을 쓴다. ‘울돌목’과는 달리 ‘명량’에는 ‘돌다’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다. 그렇지만 토박이말 땅이름에서는 ‘돌다’를 갖고 있는 땅이름이 매우 많다. 시골 어느 곳에서나 발견할 수 있는 ‘도랑’은 ‘돌다’에 뒷가지를 만드는 ‘앙’이 붙어 만들어진 말이다.
‘울돌목’과 ‘명량’을 견주어 보았을 때, 토박이말로 이루어진 ‘울돌목’이 한자어로 이루어진 ‘명량’보다 지형과 지세를 정확하게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명량해전 당시의 급박했던 상황이 울돌목이라는 땅이름 하나만으로도 실감 있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9,637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5,823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40,246 | 2006.09.09 |
3626 |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 바람의종 | 23,774 | 2007.07.24 |
3625 |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 바람의종 | 14,723 | 2007.08.31 |
3624 | 언어의 가짓수 | 바람의종 | 13,936 | 2007.09.26 |
3623 | 상일꾼·큰머슴 | 바람의종 | 13,689 | 2007.09.28 |
3622 | ‘기쁘다’와 ‘즐겁다’ | 바람의종 | 14,034 | 2007.09.29 |
3621 | 언어 분류 | 바람의종 | 14,331 | 2007.10.06 |
3620 | 떼부자 | 바람의종 | 12,559 | 2007.10.08 |
3619 | 단소리/쓴소리 | 바람의종 | 12,461 | 2007.10.09 |
3618 | ‘부럽다’의 방언형 | 바람의종 | 10,770 | 2007.10.11 |
3617 | ‘우거지붙이’ 말 | 바람의종 | 11,534 | 2007.10.13 |
3616 | 쉬다와 놀다 | 바람의종 | 10,933 | 2007.10.14 |
3615 | 방언은 모국어다 | 바람의종 | 9,625 | 2007.10.16 |
3614 | 청소년의 새말 | 바람의종 | 12,066 | 2007.10.17 |
3613 | 우리 | 바람의종 | 9,893 | 2007.10.18 |
3612 | 분루 | 바람의종 | 11,876 | 2007.10.19 |
3611 | 사투리와 토박이말 | 바람의종 | 11,009 | 2007.10.20 |
3610 | 경제성 | 바람의종 | 10,539 | 2007.10.21 |
3609 | 외국어와 새말 | 바람의종 | 10,983 | 2007.10.22 |
3608 | 알타이말 | 바람의종 | 10,809 | 2007.10.23 |
3607 | 정서적 의미 | 바람의종 | 10,580 | 200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