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님
임·님은 예부터 썩 높은 이나 귀한 이를 이를 때 쓴 말이다. 임금의 ‘임’이나 사랑하는 ‘임’이 그렇고, 뒷가지로 쓰는 ‘님’도 그렇다. 임금님이라면 맏높은 말에 다시 ‘님’을 붙여 지극히 높인다. 하느님·선생님·각시님·아드님·따님·서방님·손님·도련님·마님·샌님…들은 ‘님’이 아예 들러붙어 쓰이는 말들이다. 이 밖에도 ‘님’은 인격이 있는 지칭어에 붙어 높여 부르는 말을 만든다.
어버이를 높여 부르는 말은 무엇인가? 흔히 말하는 가친·부친·춘부장·선친·선대인, 모친·자당·자친·선대부인·선비 …처럼 살아 계시거나 돌아가신 어버이를 자신 또는 남이 가려가며 일컫는 높임말이 있는데, 이런 말들은 구별하기도 쉽잖고, 또 부르는 말이 아니라 모두 일컫는 말일 뿐이다.
옛시조나 글을 보면 아버님·어머님이 보이는데, 이 역시 글말이어서 실제로 어버이를 부를 때 썼는지는 알 수 없다. 대체로 자신의 아버지·어머니는 달리 높여 부르지는 않고, 남의 어버이를 높여 아버님·어머님이라 부른다. 예컨대 시집 온 며느리가 시가 부모를, 또 사위가 장인·장모를 부를 때는 ‘님’자를 붙여 불러야 자연스럽다. 할머님·할아버님·아주버님·아재뱀들도 주로 시집 온 며느리 쪽에서 쓰는 말이다.
“핏줄로 계산되는 친당·척당 사람에게는 ‘님’을 붙여서 부름말로 사용할 수 없다”(려증동)는 해석도 있고, 표준화법 쪽에서도 자기 어버이를 비롯한 친척을 부를 때 ‘님’을 붙여 부르지 않는 것을 자연스런 화법으로 여긴다. 다만 편지글 등 간접적으로 격식을 차리는 글말에서 ‘어버이’에 ‘님’을 붙여 쓰는 정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5,225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1,648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5,938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590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637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542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404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392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536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436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484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352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470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542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515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024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009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015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953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586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433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547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700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