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라산과 두무산 / 허재영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한라산’의 다른 이름이 ‘두무산’이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정구의 <사천년문헌통고>에서도 “한라산은 가히 은하수를 더위잡을 수 있으므로 그 이름이 붙었으며, 봉우리가 모두 평평하고 둥근데 연못이 있어 마치 가마솥과 같은 까닭에 부산(釜山)이라 한다”고 했다. 가마를 뜻하는 ‘부’(釜)는 ‘두무’라기도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한라산은 ‘부산’ 또는 ‘두무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두무’가 든 땅이름은 매우 많다. ‘두무실’, ‘두뭇골’과 같은 마을 이름이 있고, ‘두무개’처럼 고개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두무’의 말밑은 ‘둥근’이란 뜻의 ‘둠’이다. ‘돔’ 또는 ‘도마’로도 쓰이는데, ‘돔골’, ‘도마치’에 나타나는 ‘돔’과 ‘도마’가 이에 해당한다. 한라산의 모습이 평평하고 둥글기에 두무산이라고 했듯, 두무실이나 두뭇골은 모두 마을이 평평하고 둥그렇다. 이처럼 둥글고 평평한 뜻을 갖는 다른 이름으로 ‘두류’ 또는 ‘두륜’이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이나 해남의 ‘두륜산’은 모두 둥근 모습의 산인 셈이다.
땅이름에 스며든 ‘두류’와 ‘두륜’은 ‘둥근’의 뜻을 갖는 ‘두렷다’에서 온 말이며, ‘두무’는 ‘두르다’의 이름꼴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두무’가 ‘도마’로 쓰이거나 ‘두메’로 쓰이게 되면 그 뜻이 어원과 멀어진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두메산골’도 산간 분지의 마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무’가 녹아든 말임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4,738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1,141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5,496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519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527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471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381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330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483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394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393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312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453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453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500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968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957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996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871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546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389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479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656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