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팝나무
요즘 길가나 학교 정원에서 하얀 이팝나무 꽃을 흔히 본다. ‘이팝나무’는 하얀 꽃더미가 마치 사발에 소복이 담긴 쌀밥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니밥>이밥>이팝이 된 것이다. ‘니팝나무/ 니암나무/ 뻣나무’라고도 하고, 꽃은 ‘쌀밥꽃’이라고도 부른다. 이름이 이름이니만큼, 꽃 피는 모습으로 그 해 벼농사를 짐작했다. 비가 적당히 온 봄이면 꽃이 활짝 피고, 날이 가물면 잘 피지 않는데, 이팝나무 꽃이 활짝 피면 풍년이 든다고 했다. 벼농사는 물이 많아야 하므로 근거가 있는 이야기인 성싶다. 심지어 정월 앞뒤로 큰 샘과 이팝나무에 ‘용왕 먹인다’ 하여 치성을 드리고 풍년을 기원하기도 하였다.
영어로는 옷감의 장식 술을 뜻하는 ‘프린지 트리’(Fringe tree)인데, 우리말은 밥과 쌀을 바로 이름에 썼다. 전라도에서는 ‘밥태기’, 경기도에서는 ‘쌀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밥이 우리에게 얼마나 일상적인지는 조팝나무/ 까치밥/ 밥티꽃/ 며느리밥풀 같은 이름들에서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팝나무라는 이름의 유래를 두고 다른 의견도 있다. 꽃이 입하(立夏) 머리에 피는 까닭에 입하목이라고 불렀고, 이 입하가 연음되어 ‘이파>이팝’으로 되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입하목이라도 부르기도 한다.
이팝나무는 요새 가로수로도 많이 심어서 청계천에서도 볼 수 있다. 가난했던 시절 이팝에 고깃국 실컷 먹는 것이 소원인 적도 있었으나, 지금은 이팝나무 풍성한 길을 지나며 밥 안 먹어도 배부른 5월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5,522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1,892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6,211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630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643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552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434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397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584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470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492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359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474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552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523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077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015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060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1,035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661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477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584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766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