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산 신성비
‘경주 남산 신성비’는 6세기 말께 경주 남산에 성을 쌓으면서 기록한 비문이다. 이 비문은 1934년 제1 비를 시작으로 모두 아홉 개가 발견됐는데, 축성과 관련된 이두문과 축성인이 적혀 있다. 이 이두문은 “신해년 2월26일 남산 신성을 지을 때, 법대로 지은 지 3년에 붕파된 것은 죄를 줄 일로 삼아 교지에 따라 맹서하는 일”로 시작된다. 축성 관련자 이름에는 직책과 출신지가 기록된다. 예컨대 ‘아량라두 사훼 음내고 대사’(阿良旅 沙喙 音內古 大舍)는 “아량촌 순시관(라두)은 사훼부의 음내고(인명) 대사(직함)”로 풀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아량’은 〈삼국사기〉지리지에 나오는 ‘아시량’인데, 법흥왕 때 신라에 통합되었다. ‘아시량’은 이두식으로 풀면 ‘아래’가 되며, 우리말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으로 보면 ‘아시’가 된다. ‘아시’는 ‘어시’, 곧 ‘어이’나 ‘엇’이 되니 ‘어머니’를 뜻하는 말로도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금석문을 통해 증명될 때가 많다는 점이다. 얼마 전 한 일본 학자가 독도 문제를 거론한 적이 있다. 그는 “한국 사람은 모두 독도가 한국땅이라고 알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본 사람은 20%만이 독도가 일본땅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20%의 일본인은 그것을 매우 논리적으로 설명한다”라고 하였다. 역사 기록과 발굴 유적을 두루 살피는 일은, 우리의 말글, 역사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공지 | isGranted() && $use_category_update" class="cate"> | ∥…………………………………………………………………… 목록 | 바람의종 | 2006.09.16 |
공지 | isGranted() && $use_category_update" class="cate">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007.02.18 |
공지 | isGranted() && $use_category_update" class="cate">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00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