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투리와 토박이말
‘사투리’는 대중말(‘대중’은 ‘눈대중이 매섭다’ 하는 대중, 곧 ‘가늠’을 뜻하는 토박이말)에 맞선다. 우리가 쓰는 말에는 사투리와 대중말이 싸잡혀 있다. 대중말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온 국민이 막힘없이 주고받도록 규정에 맞추어 마련해놓은 말이고, 그 규정에서 벗어나는 우리말은 모두 사투리다. 그것에는 어느 고장에서만 쓰는 사투리도 있고, 어떤 사람이나 모둠에서만 쓰는 사투리도 있다. ‘토박이말’은 들온말(외래어)에 맞선다. 우리가 쓰는 말에는 토박이말과 들온말이 싸잡혀 있다. 우리말에는 중국과 몽골, 일본과 서양에서 들온말이 있거니와 이것들을 뺀 나머지는 토박이말이고 이것이 우리말의 알짜요 노른자위다. ‘토박이말’에는 대중말과 사투리가 있고, ‘사투리’에는 토박이말과 들온말이 있다.
‘사투리’와 ‘토박이말’은 배웠다는 사람들에게서 버림받은 낱말이다. 그들은 굳이 ‘방언/지역어’와 ‘고유어/순수국어’라는 어려운 한자말을 꾸어다 쓴다. 따져보면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살갑고 올바른 낱말이지만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어긋나고 엉성궂은 낱말이다.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우리 겨레의 삶에서 나고 자라 살갑게 우리 품에 안겨들지만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다른 겨레의 삶에서 나고 자라 엉성궂게 우리 품을 밀어낸다. ‘사투리’나 ‘토박이말’은 떳떳하고 자랑스러운 낱말이고, ‘방언/지역어’나 ‘고유어/순수국어’는 창피하고 부끄러운 낱말이다.
김수업/우리말대학원장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3,002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19,434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3,541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268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341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230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203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207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198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202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202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175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314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250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350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758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767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809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701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267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293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261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415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