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의 가짓수
오늘날 세계에서 쓰이는 언어의 가짓수는 얼마나 될까? 언어학 책이나 백과사전을 살펴보면, 적게는 3천, 많게는 6천 언어로 들고 있어 제각각이다. 왜 이렇게 엄청난 숫자 차이가 날까? 그 까닭은 언어와 방언의 차이가 불분명한 데 있다.
방언이란 한 언어의 하위 부류로서 그 차이가 아무리 뚜렷하더라도 서로 뜻을 주고받는 것이 어려울 정도로는 크지 않다. 그러나 영어와 우리말, 우리말과 일본말처럼 서로 다른 언어는 그 차이가 너무 커서 두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뜻을 주고받는 게 불가능하다. 그래서 방언과 언어를 구별하는 기준으로 흔히 의사소통이 되느냐 안 되느냐로 꼽는다. 말 차이가 나는 두 지역 사람이 만나 의사소통이 되면 그 두 지역 말은 한 언어의 방언이며,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면 별개의 언어가 된다.
이런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때도 있다. 한 언어에 드는 방언이면서도 소통이 안 되는 때가 있고, 두 나라 사람들이 서로 다른 자기 언어를 쓰면서도 소통이 되는 경우가 있다. 첫째 보기로는 중국어를 들 수 있다. 표준 중국어인 베이징 방언과 남쪽의 광둥 방언은 같은 중국말이면서도 서로 의사소통이 안 될 정도다. 둘째 보기로는 북유럽의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 언어를 들 수 있다. 독자적 특징을 가진 별개 언어들인데 이 세 나라 사람들은 서로 제나라 말을 쓰면서 자유롭게 의사를 통한다. 이런 사정으로 세계 언어의 가짓수를 정확하게 말하기가 어렵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3,414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19,849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4,046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301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388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274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238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247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267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260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243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242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341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300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389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830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823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854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772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310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329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309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456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