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가 쏟아지는 우리선인들 이야기
비구니가 된 정순왕후
서울 가까이 조선조의 마지막 임금인 고종과 순종 부자분의 홍릉과 유릉-흔히 아울러서 금곡릉이라 부른다- 을 찾을 때 조금이나마 뜻이 있는 분이라면, 거기서 몇 발자국 안되는 거리에 있으니 사릉을 한 번 찾아보아 주시길 권한다. 조선조 제6대 단종이 어린나이로 왕위에 올랐다가 숙부되는 수양대군께 빼앗기고 영월땅으로 귀양 가, 거기서 17세의 어린 나이로 비명에 돌아간 이야기는 듣는 이의 눈시울을 적시게 하는데, 그 단종의 왕비되는 정순왕후 송씨의 능이라 감회가 깊겠기에 하는 말이다. 남편되는 왕이 폐위되었으니, 당연히 왕비에서 깎이어 일반평민의 신분으로 계시다 돌아 갔으니, 의지할 데 없이 친정댁 산소갓에 묻히었다가 수백년이 지나 숙종 조에 이르러 복위되었기 때문에, 능의 구조도 자연 초라하고, 능역에 친정댁 선대 산소들이 그냥 보존돼 있어서 이색적이다. 그런데, 여기 하나 이상한 것이 능갓의 늘씬늘씬한 소나무가 모두 동남쪽 영월을 향해 휘우듬하게 서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가 하면 영월 장릉에 가 보면, 능앞에 소나무가 모두 서울 쪽을 향해 기울어서 자라고 있다. 이것을 놓고 흔히 두 어른의 영혼이 서로를 잊지 못해 그렇게 마주 휘어져 있는 거라고 설명하며, 그것을 동정의 눈물을 짓는 이도 곧잘 있다. 물론 과학적인 설명은 못된다. 사릉 언저리는 서울지방의 서북 계절풍으로 자연히 휘어진 것이고, 장릉은 흔히들 보검출갑형이라고 하여 지형이 워낙 가파라 꼿꼿이 서서 자랄 수가 없어서 그리 되었다고 하면 그만이다. 그러나 그것을 초월해 동정하는 심정으로 향해, 버스 한 정류장쯤 가면 왼쪽으로 창신동 골짜기가 틔어 있다. 밟음밟음 찾아 들어가면 창신초등학교가 있고, 차츰 더 올라가면 골짜기가 막히고, 거기 언덕 위에 당집 같은 건물이 있다. 안에 서 있는 비석에는 정업원 구기(옛터)라고 새겨져 있는데 영조대왕의 어필이다. 단종대왕이 왕위에서 물러나 허울좋은 상왕자리에 있다가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로 귀양가게 되었을 때, 세조께는 충신되는 모씨가 사뢰었더란다.
“젊은 것들을 한데 붙여 보냈다가, 소생이라도 생기면 뒷날 골칫거리가 아니오리까?”
그리하여 왕만을 따로 때어 보내놓고 보니, 뒤에 남은 왕비의 처리가 문제다. 그래 왕비는 머리를 깍아 비구가 되어 부처님 가사폭에 안겨 여생을 보내게 되었는데, 가까이 모시던 궁녀들 몇이, 이 역시 여승의 차림으로 시봉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처음 얼마동안은 몰라도 차츰 세인의 주의에서 희미해지자 시량을 대어 드리는 것마저 뜨막해지자 영영 끊기고 말았더란다.
옛날엔 서울이 성벽으로 둘려 있고 4대문을 열어야 통행을 할 수 있었던 때문에, 서울 장안을 돌구멍이라고들 불렀다. 그런데 성안 사람은 성밖에서 물자가 들어와야 살 수가 있고, 성 가까운 시골 사람의 주민들은 양곡과 나무를 성안에 공급해야 생계를 이을 수 있었다. 그래 부지런한 시골 사람은 땔나무와 양식을 마소에 싣고, 찬거리를 지게에 지고 새벽 같이 성문 앞으로 모여 들었다. 그러나 성문을 열어야 들어가게 마련이라 둘레의 주민들 편의를 위해 거기서 새벽장 한차례를 치르고 나서, 성문이 열리자 성안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 새벽, 그네들 인파속에 아리따운 여인 하나가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그것도 머리를 푸른 기가 나도록 밀어 깎은, 젊고 귀띠나는 여승이다. 검은 장삼자락으로 반쯤 얼굴을 가리었으나 그럴수록 화사한 모습은 더욱 빛났다. 자연히 군중 속에서 수군수군 귓속말이 오갔다.
“새벽같이 웬 여승일까?”
“뭐, 가까이 있는 정업원에 있는 스님이겠지.”
“정업원이라니? 저 노산군 부인이 나와 있다는...?”
“임마! 노산군이 뭐야? 어엿하게 왕으로 계셨는데. 부인도 왕비마마셨고!”
“쉬잇! 말조심들 해.”
나이 지긋한 영감이 타이르듯 하면서 말을 잇는다.
“아무래도 양도가 끊긴 듯하이. 우리 자기 가진 것 중에서 조금씩 보시해 드리도록 하세. 그리고 삼봉아! 너 나뭇짐지고 뒤따라 가서 나무 광에 부려 드리고, 어떻게 지내시는지 둘러 보고 오너라. 이런 일에는 나이 어린 사람이라야 걸맞느니라.”
그리고는 여승에게로 다가갔다.
“스님! 어떻게 몸소 이렇게 탁발을 나오셨습니까? 여기 쌀이 있으니 이것을 좀...”
"많이는 소용이 안되와요. 그저 조금만...“
여승의 은방울 굴리는 것 같은 목소리는 여럿의 귀에 길이 남았다. 성문이 열릴 때나 되어 헐레벌떡 달려온 삼봉이는 코를 벌름거리며 너스레를 떤다.
“요렇게 조그만 암자에 아련하게 불이 비치고, 목탁치며 염불하는 소리만이 들려오는데 광은커녕 부엌에도 나무 한 단 없는 것이 불도 며칠 못 땐 것 같아요. 나뭇짐을 부렸더니 아까 그 스님이 보고 생그레 웃는데 어떻게나 다정하고, 선녀를 보지는 못했지만 아마 그런 모습일 거예요.”
“예끼놈! 수다도 잘 떤다.”
그리고는 누가 나가서 이끈 것도 아닌데 동대문 밖 새벽장은 창신동 어귀로 옮겨져 서게 되었고 정업원의 스님이 다녀 올라가야 천천히 동대문 쪽으로 군중은 옮겨 갔다. 그러기를 수십년, 단종 왕비는 82세토록 골방같은 암자에서 아침 저녁 예불로 세월을 보내었다. 그동안 남편되는 왕을 핍박하던 많은 무리들이 차례대로 죽어가는 소식도 들었다. 궁중에서 일어난 갖가지 소식도 못 들었을 리 없다.
그중에도 연산군이 갖가지 난행 끝에 일으킨 갑자사화에는 여러 훈신이 화를 입었는데, 물론 자기 어머니의 원수를 갚는다는 명목이지만, 귀에 한청회, 정창손의 이름이 부관참시 명단에 든 소식을 들었을 때, 파란많은 일생을 살어온 늙은 스님의 심증은 어떠했을까? 아마도 주름 투성이의 아래윗턱을 오물거리며 읊조렸을 것이다.
“인생은 무상도 해라. 나무아미타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