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가 쏟아지는 우리 선인들 이야기 - 이훈종
미남은 괴로워
조선왕조 초기의 대표적인 학자요, 정치가로 정인지를 꼽지 않을 수 없다. 초대 임금인 태조 5년에 나서 성종 9년에 세상을 떠났으니, 이씨 왕조의 초창기 왕성한 운세를 타고, 천품의 재주를 한껏 발휘하여 출세하고 또 많은 공적을 남긴 분이다. 19세로 식년 문과에 장원하였으니 뛰어난 글재주를 짐작케 한다. 순탄하게 벼슬길을 걸어 세종이 즉위하자 특별히 총애를 받아 예조와 이조의 정랑을 거쳐, 집현전 학사로 뽑혔으니 그의 학문은 날로 깊이를 더하였고, 세종 9년 32세로 문과 중시에 또한번 장원하여 곧장 좌필선에 선임되고 이듬해 부제학, 시강관을 겸임하기에 이른다. 필선과 시강관은 둘 다 시강원의 요직으로 다음 왕위에 오를 세자의 직접 선생님이니, 세종의 신임과 총애가 어떠하였나를 짐작할 만하다. 그런 그의 소년시절의 일화 한 토막을 소개하려고 한다. 그의 출생을 놓고 석성현감 홍인의 아들로 권우의 문인이라고 하였으니, 결코 혁혁한 가문은 못된다. 집안에 신동이 태어났다고 모두의 기대를 한몸에 모았겠는데, 또한 사명감을 갖고 학문에 열중하였을 것은 물론이다.
옛날 공부라는게 학문으로 된 원전을 주로 참고하며 읽어 이해하고는, 책을 펼쳐놓은 채 눈길을 코끝으로 모아 책은 보는지 마는지 몸을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며, 낭랑한 목소리로 읽고 외우는 것이라, 가다가 막힐 때나 잠시 눈을 들어 본문을 보고, 다시 본래 자세로 돌아가 왱왱 외우는 것이 태반이다. 어두운 호롱불 아래서는 또 그렇게 하는 공부밖에 달리 할 길이 없다. 어느 가을, 밤도 이슥하여 주인공이 이렇게 글을 외우고 있는데, 시늉만의 등불이 펄렁이더니 앞이 갑자기 훤한 것이다. 눈을 들어 보니 묘령의 여인 하나가 다소곳이 서 있지 않은가?
“사불범정이라니 요망한 귀신이거든 썩 물러가고 사람이거든 어인 사람이며 무슨 일로 왔는가를 말하라.”
잔뜩 율기를 하고 묻는 말에 상대방은 기어들어가는 듯한 목소리로, 그러나 똑똑히 말한다.
“곁의 집에 사는 처자이온대 도련님의 글 읽으시는 소리를 듣고, 사모하옵는 마음을 억제치 못하와 그만 이렇게...”
금방이라도 다가올 모양이라 언사를 부드럽게 하여 차분히 일렀다.
“우리나라는 예의지국이라, 자고로 예절을 숭상하는 터에 젊은 남녀가 사사로이 만나는 건 도리가 아닌 줄로 아오. 오늘은 그냥 돌아가고 중매를 놓아 청혼하면 달리 방도가 있을 것이니 그리 알고 어서...“
상대는 기안에 눌리어 다시 더 아무말 못하고 소리없이 사라져 갔다.
“어휴...”
큰 숨을 몰아 쉰 그는, 밝은 날로 부모님을 졸랐다.
“집 팔고 이사갑시다.”
이리하여 그는 무사히 고비(?)를 넘겼다고 한다. 이보다 더한 예로 고려 초기의 강감찬 장군의 일화가 있다. 그는 천병만마를 호령하는 장군도 아니다. 문과 출신으로 체수도 적고, 얼굴은 박박곰보에 검기는 왜 그렇게 까맣든지, 흔히 외모론 보잘 것 없으면서 재주 있는 사람을 그렇게 별명지어 부르기까지 하는 그런 분이다. 옛날엔 청년들이 자기도 당당한 남아라고 뽐낼 때 하는 말이 있었다.
“나도 임마! 홍역, 마마 다한 놈이다.”
마마는 천연두 증세도 대단했고, 혹 살아 남더라도 그 흉터가 말이 아니다. 그래서 날짜를 채우고 환자가 머리를 들고 일어나게 되면, 호구별성마마 배송낸다고 마마귀신을 전별하는 의식을 치렀다. 시원스러게 어서어서 가라고 평화적이긴 하나 쫓아내는 절차다. 그런데 소년 강감찬이 그런 자리에 와서 두 손을 모아 빌더라지 않은가?
“별성마마님, 이 집을 떠나거든 제발 내게로 와 주시오.”
간데마다 쫓아내는데 오라고 환영하는 데가 있으니 오죽 좋은가? 강감찬은 그길로 몸져 누워 앓아 사경을 헤맸다. 얼굴에 손등에 무섭게 돋았던 것이 딱정이가 질 때 곱게 넘기면 흉터가 안남는 것인데, 이 딱한 소년은 제 얼굴을 제가 사정없이 할퀴었다. 어른들이 말려도 듣지 않고... 그리하여 박박 얽어뱅이가 되어 일어앉은 그는 흡족한 듯이 웃었다.
“이제 됐어, 얼굴이 좀 곱상하다 보니 계집애들이 어찌나 따르는지! 이젠 마음놓고 공부하고 장부답게 일도 해야지. 에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