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가 쏟아지는 우리 선인들 이야기 - 이훈종
조신의 꿈
신라 때 양양 낙산사에 조신이라는 스님을 지장으로 임명해 보냈는데, 이는 원님이라면 알맞는 것이다. 조신은 김호 공의 따님을 보고는 첫눈에 반해, 낙산사 부처님께 나아가 한 번 만나게 해 줍시사고 몰래 빌기를 수없이 하였다. 그러는 사이 몇 해가 지나 낭자는 딴 데로 시집가 버려서 조신은 부처님 앞에 가 엎드려 소원 들어 주지 않은 것을 원망하며, 슬피 울기를 마지 않았는데 이미 해는 서산에 들고 말았다. 그때 김씨댁 따님이 문을 열고 들어서는 것이 아닌가? 환한 얼굴로 반가이 웃으며 속삭인다.
“먼 발치로 스님을 뵙고 얼마나 사모했다구요! 잠시도 잊은적이 없었는데, 어쩝니까? 부모님의 명을 어길 수 없어 시집가기는 했으나, 이제 마음을 고쳐먹고 스님과 평생을 같이하려고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그러니...”
조신은 미칠 듯이 기뻐하며 손에 손을 잡고 고향으로 돌아가, 살림차리고 살기를 사십여 년이나 하였다. 뒤늦게 자녀들도 줄줄이 낳아 다섯이나 두었는데, 살림이 궁색하여 덩그러니 빈집 같은 가운데 식량을 대기조차 막연하였다. 어쩌는 수 없이 떼거지가 되어 사방으로 밥을 빌어 나섰는데, 이렇게 하기를 십여 년 하는 사이, 옷은 누덕누덕 조각보를 모은 듯 그나마 몸을 가리지 못할 지경이다. 마침, 강릉의 해현령을 넘는데, 열다섯이나 먹은 제일 큰 아이가 배고픔을 못이겨 덜커덕 길에서 죽고 말았다. 울며 불며 길가에 구덩이를 파고 묻긴 했으나 앞길이 캄캄하다. 나머지 넷을 데리고 우곡현에 이르러 길섶에다 초막을 어리고 거처를 정했으나, 여전히 생계는 간 곳 없다. 그런 위에 부부는 이미 늙고 병마저 들어 배고파 탈진하여 일어날 기력마저 잃고 말았다.
열 살 먹은 딸년이 동네로 다니며 비럭질을 했는데, 엎친데 덮친 격으로, 동네 사나운 개한테 물려서 유혈이 낭자해 가지고 돌아와, 부모 앞에 고꾸라져 울어대니 그 정경이 어떠하랴! 옛부터 이런 땐 여자가 남자보다 강하다고들 하는 것이다. 서로 쳐다보며 한숨얼러 눈물짓다가 여자 쪽에서 먼저 일어 앉아 하는 말이다.
“내가 처음 당신을 만났을 때는 나이 젊고 자색도 있었으며 선명한 옷차림에, 맛있는 게 생겨도 당신과 나눠먹고 따뜻한 곳이 있어도 당신과 같이 지내, 같이 살기 오십년에 더할 수 없이 사랑하고 서로가 아꼈으니, 짙은 인연이라 이르겠지요. 요 몇 해째 몸은 쇠약하고 병든 몸에 기한은 날로 심하니, 이웃집에서도 동냥주기 꺼려하고, 집집이 찾아다닐 제 부끄럼이 오죽하오? 아이들이 춥다 울고 배고파 보채대니 무슨 수로 이어가며, 어느 겨를에 부부간의 애정을 생각하겠소? 젊은 얼굴에 생그럽던 웃음도 한낱 풀잎의 이슬이요, 향기롭던 언약도 버들꽃같이 흩날려 버렸지요. 당신은 나로 하여 짐이 되고 내 마음은 당신으로 인해 걱정 잘 날 없구려! 곰곰히 지난 날의 좋았던 일 생각하니, 모두가 번뇌로 오르는 계단이었지 뭐요? 여보! 당신이나 내나 이 참혹한 지경에서, 여럿이 이렇게 함께 고생하기보다는 차라리 따로나 헤어지는 게 어떻겠소? 순경일 때는 친하고 역경일 때는 버리는 것이 인정에 차마 못할 일이긴 하나, 그러나 가고 멈추는 것이 뜻대로 아니되고 떠나고 만나는 것이 다 운명에 매었으니 내 말대로 합시다. 예?”
그리하여 둘이 아이 둘씩을 나눠 데리고 돌아서며 여자는 말한다.
“나는 고향으로나 가겠으니, 당신은 남으로 향해 가구려.”
조신이 차마 안떨어지는 발길을 몇 발짝 옮겼을 때 눈 앞이 탁 트이며 정신이 번쩍 드는데 잠깐의 꿈이었고 타다 남은 촛불은 펄럭이는데 시각은 한밤중이다. 새벽이 되어서 보니 그 사이 머리와 수염이 새하얗게 세어 있다. 활연히 깨달으며 허전하여 세상에 뜻이 없고, 지난 고생이 지긋지긋해, 욕심과 세속 생각이 봄눈 녹듯 흔적없이 사라진다. 그길로 일어나 부처님 모습을 우러르며, 허물을 뉘우쳐 무수히 빌고 꿈에 해현마루의 큰 자식이 죽어 매장한 곳을 찾아가 파니, 땅 속에서 돌로 깎은 미륵상이 나타난다. 깨끗이 씻고 닦아 가까운 절을 찾아 모셔 놓고, 서울로 돌아와 장임직을 내어놓고, 사재를 몽땅 털어 정토사를 이룩하여 열심히 도를 닦았는데, 그 뒤는 어찌 됐는지 아는 이가 없다.
일연스님은 <삼국유사> 가운데 이 사실을 소개하고 스스로 이렇게 평하였다.
“이 전기를 읽고 나서 책을 덮고 생각하건대, 어찌 꼭 이 스님의 꿈이라고만 할 것인가? 지금 세간에서 저 잘났다고 우쭐대며 밤낮없이 날뛰는 것들은 모두가 깨닫지 못해서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이와 아주 비슷한 것이 중국 옛 기록에 몇군데 보인다. 당나라 때 순우분이라는 사람이 홰나무 그늘 남쪽 가지 아래 누워서 낮잠을 잤는데, 꿈에 괴안국이라는 나라에 가서, 임금의 사위가 되고 남가 고을의 태수가 되어 20년 동안 영화를 누렸는데, 깨어 보니까 나무 등걸 텅빈 공간에 왕개미가 있고, 남쪽 가지로 구멍이 연해 있었으니 자신이 원 노릇 했던 곳이다. 이것이 남가일몽의 어원이 되는 얘기다. 역시 당나라 때 사람 이필의 침중기에 이런 얘기가 나온다. 노생이라는 청년이 한단땅 주막에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한숨짓고 있으려니까, 곁에 있던 여옹이라는 도사가 자루속에서 목침을 하나 꺼내주며, 이거나 베고 한잠 자라고 일렀다. 노생은 꿈에 귀한 집 딸에게 장가들고 바라던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내외직을 두루 거쳐 조국공에 봉하기까지, 30여 년 동안 부귀를 한껏 누렸는데, 기지개를 켜며 깨어보니 한낱 꿈이요, 누울 적에 주인 여자가 앉힌 조밥이 아직 익지 않았더라고 한다. 이것이 한단지몽의 어원이 되며, 희곡으로 꾸며져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특이한 것은 중국의 꿈이 부귀와 영화의 뜬 구름이었다면, 조신이 꾼 것은 끔찍하고 지겨운 고생의 연속이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어찌 되었던 인생은 일장춘몽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현실의 고생이나 영화가 한낮 꺼풀이라면, 몇 겹으로 된 그 과잉포장을 벗겨내고 남는 알맹이는 과연 무엇일까? 청춘시절 벼개닛이 젖도록 밤새 울어 보지 않은 사람하고는 얘기가 안 통한다고 하는데 거듭 되새겨 볼 얘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