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가 쏟아지는 우리 선인들 이야기 - 이훈종
그렇게도 유난을 떨더니
조선조 중엽 광해군 때 활약하다가 인조반정 후에 잡혀서 죽은 대문장가에 유몽인이라는 분이 있다. 서예에도 뛰어난 재주를 보였고, 설화를 모아 <어우야담>이라는 책을 엮었는데, 어우는 그의 별호다. 이 책 가운데 채록되어 있는 얘기로 주인공을 소개하면서 “연운의 자는 태공이니 거부장자라”라 하였는데, 별로 들어보지 못하던 성이다. 예쁜 딸이 하나 있어서 남달리 사랑스러워 그에 걸맞는 미남자를 구해 사위를 삼겠다고, 화공을 고용해 자신이 생각하는대로의 초상화를 하나 그려 내었더니. 그리는 동안 아마 잔소리 깨나 했을 것이다. 얼굴은 둥글지도 않고 옳지! 옳지! 그 정도로 갸름하게, 광대뼈가 너무 나와서는 못쓰고, 눈귀는 올라가서도 안되고 쳐저서도 못쓰며, 눈은 봉의 눈으로 인자하게, 코끝은 뭉뚝해야 하고... 웬만하면 하 유난한 주문에 화공은 붓을 팽개쳤을 것이다. 그러나 주인은 한다하는 부자라 사례금도 듬뿍 받았겠다, 하여간 진땀을 빼며 잔소리를 머리가 희도록 들은 끝에, 한 남자를 꾸며 그려서 당대에 둘도 없을 미남자로 창출해 내었다. 이 그림을 표구해 족자로 꾸며서, 길로 면한 문 위에 걸고 광고하였다.
“꼭 이렇게 생긴 남자가 있거든 찾아오라. 사위를 삼으리라.”
그러나 그런 미남자가 쉽게 나타날 리 없다. 날마다 지나가는 이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 많은 한다하는 총각들이 찾아와 봤으나, 스스로 제 얼굴과 비교해 보고는 어깨를 늘어뜨리고 돌아들 갔다. 그런데 하루는 수염을 길게 드리운 점잖은 노인이 지나가다가 그 그림을 보고 놀라며 허리를 굽혀 절을 하면서 “도련님! 여기는 왠일로 와 계시옵니까?” 그러고는 바짝 다가가 자세히 보더니 또 한번 뇌까린다. “왜 아무런 대답이 없으신가 했더니 이런 제에기, 그림 아냐? 그렇기로 신통도 하지, 우리 댁 도련님을 어쩌면 이렇게 쏙 빼놓은 것처럼 그려 놓았을까?” 물론 지키던 하인은 곤두박질을 쳐서 주인에게 들어가 그 사실을 고하고, 주인도 마음이 황홀해서 그 하인에게 뒤를 밟아가 어디 사는 어느 댁인가를 확인해 오도록 일렀다. 그리하여 혼담이 오가고 정혼이 되어 이제 예만 치르면 될 단계다. 그런데 이면에 곡절이 있다. 이 댁 신랑이라는 것이 사실은 병신이라. 병신도 이만저만 흉칙한게 아니어서, 한 눈을 멀고 한 다리는 절며 한 팔을 쓰들 못하고, 낯이 고석매처럼 얽은 데다가 검기는 왜 그리 검은지... 그렇건만 묘하게도 재산은 남부럽지 않게 많아서 부자로 소문이 난 가문이다. 그래 한다하는 중매쟁이를 매수하여 혼처를 구했다가, 납폐까지 하고도 되돌아온 것이 세 번이요, 중매할멈이 욕먹고 쫓겨 돌아오기를 수없이 한 그런 상대다. 물론 부모는 애가 닳아 무당에게 묻고 장님에게 점치면, 예외없이 미인에게 장다들 거라고 하여서, 그것만을 믿고 차일피일하기 실로 몇해더냐? 신랑의 나이 서른하고도 여덟이 되고 말았으니... 그런데 그집 하인 중에 능글맞은 자가 아마 주인에게 은혜도 많이 받았든지 멋진 연기로 혼인을 성사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연극으로 치면 서막에 지나지 않는다.
이제 길일이 다가와 주인은 재물을 흩어 하인이랑 동네 사람의 입을 막고, 신랑을 분장하여 날이 어둑어둑할 무렵, 길차려 떠나는, 얼굴에는 분을 뚜껍게 바르고 옷을 흐르리하르리 겹쳐 입어, 저는 다리는 목발로 괴고 팔을 소매 속에 팔장끼어 의젓하게 내세웠다. 초례청에 들어서 부축을 받으며 절하여 예를 마치고, 이제 신방에 들어 색시와 마주앉아 상우례를 시킬 차례인데 일대이변이 일어났다.
“네 이노옴! 장자야, 나오너라. 나는 동쪽 늪을 오래도록 지켜온 화룡이니라. 내 혼자 지내기 쓸쓸하여 너의 딸로 배필을 삼으려 점찍었었는데 내 뜻은 물어보지도 않고 딴 놈에게 주어? 이미 남의 것이 된 이상 난 심청이와 놀겠다만 신랑 네놈의 눈을 멀게 하리라.”
신랑은 비명을 지르며 눈을 감싸고 방바닥을 나뒹굴었다.
“다음 네놈의 한 발을 절게 하리라.”
신랑이 벌떡 일어났다 버럭 소리를 지르며 다리를 검어쥐고 나자빠졌다.
“이노옴! 그걸로 내 분이 풀릴 줄 아느냐? 네놈의 팔을 분질러 놓으리라.”
신랑이 외발로 솟구쳐 일어섰다가 모접이로 쓰러지는데 억지로 일어앉는 것을 보니 한팔이 벌써 뒤틀어졌다.
“어이, 후련하다. 그렇기로 내 네놈의 얼굴을 그냥 둘 줄 알았더냐? 너의 얼굴을 얽고 칠을 하노라.”
온 집안이 난가가 되고, 장모랑 식구들이 마당에 내려서서 손이 발이 되도록 빌고, 화룡은 불꽃 타오르는 양팔을 들어 위협하는 자세를 짓고는 지붕 너머로 소리없이 사라졌다. 망연실색한 가족들은 잠깐 사이에 볼썽사나운 병신이 돼버린 신랑의 몰골을 보고 눈물지었다.
“화룡도 그렇지, 어떻게 사람을 이 꼴로 만들어 놓는단 말인가?” “그래도 얘야. 용에게 시집간 것보다야 낫지 뭐냐? 용과 산다면 그것은 물에 빠져 목숨을 바쳐야 한다는 얘기지 뭐냐?”
이리하여 유난을 떨던 연부자는 어이없이 병신사위를 보고도 체념해야만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