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六章 (노자 - 도덕경 : 제6장)
谷神不死, 是謂玄牝, 玄牝之門, 是謂天地根,
綿綿若存, 用之不勤.
곡신불사 시위현빈 현빈지문 시위천지근
면면약존 용지불근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여섯째장
직역
골의 하느님은 죽지 않는다. 이를 일컬어 그윽한 암컷이라 한다. 그윽한 암컷을 일컬어, 하늘과 땅의 뿌리라 한다. 이어지고 이어져서 마치 있는 것 같다. 써도 마르지 않는다.
해석
동양에 있어서 神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하나는 하느님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정신이다. 우선 하느님과 하나님의 차이를 알기 바란다. 하나님은 기독교의 신이다. 그리고 하느님은 동양의 上帝 개념이다.
정신은 알 수 없는 미묘함을 뜻하기도 한다. 골짜기를 바라보아라 그 사이의 텅 빈 공간, 노자는 그것을 곡신이라고 표현했다. 골짜기의 비어 있음이 신이라는 것이다. 이 비어 있음은 능동성을 가지지 않는다. 수동성을 의미한다. 이 수동성이 잘 표현되어 있는 것이 여성스러움이다. 여성이 아니다. 육체를 가지고 있는 개개의 여성을 말한 것이 아니다. 여자라면 가지고 있는 수동성을 현빈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이 수동성은 남자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 남자에게도 수동성은 있다. 그러나 능동성이 더욱 강조되어 있는 것이다. 여성에게도 능동성이 있다. 그러나 수동성이 강조되어 있다. 따라서 현빈은 여성스러움, 바로 수동성을 의미한다. 혹자는 이것을 여성의 생식기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말은 노자를 오해한 것이다. 여기서 牝-암컷- 이라고 하지 않고 玄牝-그윽한 암컷-이라고 한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현빈이란 여성스러움의 극치 그 심원을 말한 것이다.
이 수동성. 비어 있음은 천지의 뿌리가 되는 것이다. 천지가 무엇을 이용하는지 본 적이 있는가. 골짜기는 무엇이 있기 때문에 있을 수 있는지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가.
- 잠시 생각을 해보기 바란다. -
골짜기가 있기 위해서는 골짜기 사이가 비어 있어야 한다. 무엇이 그 사이를 비우고 있는가.
- 생각하라 -
비어 있음은 원래부터 그러한 것이다. 그래서 곡신이라고 했고 천지의 뿌리라고 했다. 천지는 그 사이의 비어 있음을 이용해서 움직인다. 하늘과 땅사이가 비어 있지 않다면 무엇으로 하늘과 땅을 구분할 수 있는가. 그것은 사물과 사물의 관계에서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비어 있음은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가. 골짜기와 골짜기 사이의 비어 있음은 골짜기에만 머물러 있는가. 그것은 모두 연결이 되어 있다. 지금 있는 방과 바깥이 문으로 닫혀 있어서 비어 있음이 끊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문을 여는 순간 그 비어 있음은 연결이 된다. 아니 원래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총체적인 비어 있음은 알 수 가 없다.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구분되어 있는 것들뿐이다. 비어 있음은 구분되어 있지 않다. 단지 그 속에서 느낄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이 비어 있음은 써도 써도 마르지 않는 것이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6.
[골짜기의 신은 죽지 않으나 이를 신비스러운 암컷이라고 한다. 신비스러운 암컷의 문을 근원이라고 한다. 끊임없이 이어져서 아무리 써도 힘들어하지 않는 것이다.]
주
곡신 : 이 단어의 주석에도 여러 가지 설이 있음. 신비의 골짜기(신곡)로 도치하여 풀이하는 사람도 있음. 삼국 시대의 왕필은 '계곡 가운데의 텅빈 무의 곡'(곡신곡중앙무곡지)이라고 해석함.
현빈 : 신비한 암컷, 만물을 생성하는 불가사의한 능력을 지칭한 것임.
현빈지문 : 현빈을 생식기 즉, 자궁으로 해석하는 학자도 있음(김경탁)
면면약존 : 계속 길게 이어져 끊이지 않음을 뜻함.
불근 : 피곤하거나 지치지 않는 상태를 말함. 도의 작용의 자연스러움을 묘사한 말임.
해
노자는 도를 골짜기의 신으로 신격화하고 있다. 그것은 항상 비어 있고 아래에 있으므로 모든 물이 모여들 수 있고 또 흘러나올 수 있는 곳이다. 이것이 마치 도가 만물을 유출시키고 있는 것과 같다. 현빈은 신비한 암컷이란 뜻이다. 인류는 농경 생활을 시작하고부터 풍년과 다수확의 상징으로 여성의 다산 능력을 칭송하게 되었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 가운데 여성의 풍만한 몸매를 표현한 토용의 숭배 사상도 이것과 연관되어 있다. 노자 또한 만물을 생성하는 도의 위대한 작용을 모성의 생식력에 비유하고 있다. 도를 여성에 비유하여 여성의 위상을 격상시킨 그의 독특한 착상에 미소짓는 독자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