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들이 두려워할 위엄이 없으면 즉 큰 두려움이 온다. 그 사는 곳을 업신여기게 하지 말고, 그 살아가는 바를 싫어하게 하지 마라. 무릇 싫어하는 것이 없게 해야, 이것으로 그 삶을 싫어하지 않게된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자기를 알면서도 스스로 드러내지 않는다. 자신을 아끼면서도 스스로 높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해석
사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권위가 있어야 한다. 이 권위라는 것은 사람들이 그것에 따라야만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즉 백성들이 따를 규범이 없다면 다스리는 사람은 그 자리에서 쫒겨나게 된다. 백성들이 삶을 일일이 간섭을 하고, 그들이 삶을 지겹게 느끼게 된다면 어디선가 혁명의 세력이 싹트게 된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삶이 지겹다고 느끼는 것은 향락에 빠져 있을 때이다. 업무에 시달릴때는 지겹다고 느끼지 않는다. 힘들다고 느낄 뿐이다. 위정자가 지겨운 것은 향락에 지칠때이다. 그렇게 할려면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야된다. 그럼 백성들은 자신의 삶을 지겹게 느끼게 된다. 그런데 노자의 시대와 지금 시대의 정치형태는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지금은 백성들이 지겹게 여기면 위정자를 갈아치우면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노자는 자신이 짤리지 않고 위에 서는 법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오래 정권을 잡고 싶으면 백성들이 지겹게 느끼지 않게 해야한다. 힘들게 느끼는 것과는 다른 의미이다.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72.
백성들이 두려워 할 만한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곧 큰 징벌이 내리게 된다. 백성들의 주거나 행동을 속박하지 말고, 그들의 생활과 생계 수단을 억누르지 말라. 억누르지 않는다면 싫어함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스스로 알면서도 그것을 드러내 보이지 않고, 스스로를 사랑하면서도 잘난 체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위력의 다스림을 버리고 무위의 다스림을 택한다.
주
대위: 큰 위력, 큰 징벌. 부자현: 현은 드러내다, 나타내다, 보이다의 뜻. 현은 현과 통합, 따라서 자신을 과시하거나 자랑하지 않는다는 것임. 거피취자: 억압과 형벌 위주의 정치를 버리고 무위와 무사의 정치를 택한다는 뜻임.
해
이 장에서 노자는 억압 위주의 법가적 통치의 폐단을 지적하고 있다. 힘과 으름장으로 유지되는 질서란 결코 오래 계속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을 따르게 하는 것은 그런 것이 아니고 은혜와 덕망인 것이다. 백성들이 위정자의 통치권에 복종치 않으면 보다 큰 위력 즉 극형을 예사로 하게 된다. 그리고 백성들의 주거나 행동거지에 대하여 세세한 교제와 압박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생활 자체가 속박이 되어 버린 백성들은 유민이 되거나 도적이 되어 통치 질서에 대하여 도전하게 된다. 원래 인간 불신에 의한 인간 조종술을 통치의 수단으로 삼고 있는 것이 법가의 정치철학이다. 그것은 성악설에 근거를 주고 정치에서 윤리와 도덕을 애초부터 분리시키고 있다. 불신은 불신을 낳고 혼란은 더 큰 무질서를 조성케 한다. 성인은 자연의 이법을 체득하고 있으나 스스로 그것을 드러내 보이거나 자랑하지 않는다. 그는 스스로를 존귀하다고 하며, 백성들 위에 군림하고자 하지 않는다. 위력과 형벌의 정치를 버리고 무위와 무사의 정치를 그는 택한다. 천하는 저절로 잘 다스려지며 백성들은 태평가를 부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