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 1」(소설가 정영문) 2009년 6월 15일_서른네번째 |
사람을 다른 동물과 결정적으로 구분지어 주는 것 중 하나가 웃음의 능력일 것이다. 다른 동물들이 웃는지는 알 수 없지만 사람처럼 웃음을 터트리거나, 속으로 조용히 미소 짓지는 않는 것 같다. 동물들은 흡족한 나머지 기분좋은 소리를 내거나 꼬리를 치거나 할 뿐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사람은 재미있는 경험을 할 때에도, 자신이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는 난처한 상황에 처했을 때에도, 아무렇지 않은 일에도 웃기도 한다. 그리고 때로는 사소한 것에 대해서, 또 다른 때에는 엄청난 일 앞에서도, 또는 삶에 치를 떨면서도, 배가 아플 정도로 혹은 빙그레 혹은 하는 수 없이 웃기도 한다. 웃음은 인간에게 가장 가까이 있는, 또는 경우에 따라 가장 멀리 있는 어떤 것이다. 사람에게 너무도 익숙한 웃음은 사실 생각만큼 단순하지 않으며, 그 정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기도 하다. 가령 웃음의 종류와 면모를 한번 보자. 너털웃음, 쓴웃음, 비웃음, 회심의 미소, 어이없는 웃음, 바보 같은 웃음, 히죽거림, 깔깔거림, 낄낄거림, 잔잔한 미소, 비굴한 웃음, 교활한 웃음, 누군가를 얕잡아 보거나 누군가가 고까울 때 짓는 웃음 등등, 그 수는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그 앞에 많은 형용어구를 거느릴 수 있는 웃음만큼 다양한 속성과 모습을 갖고 있는 인간의 감정도 없다. 웃음은 얼마든지 상황과 어울리지 않게 발생할 수도 있으며, 실제로 많은 웃음은 어떤 존재와 그가 처한 상황과의 불일치에서 솟아난다. 물론 웃음은 그 자체가 완전한 감정으로 기능하지도 않고, 감정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여러 가지 감정들과 결합되며 복잡한 마음의 양상을 드러내고, 의식과 맞물려 사고작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가장 복잡한 정서적 반응인 웃음은 다른 감정과 사고에 강한 힘을 행사하기도 한다. 가령 사람은 극심한 슬픔에 잠겨 있다가 웃을 수도, 근심이 극에 치닫는 순간에 웃을 수도 있으며, 그때의 웃음이 슬픔이나 근심을 변질시키거나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웃음은 가장 순수한 동시에 교활하기도 하고, 가장 경박한만큼 심오하기도 하며, 가장 천진한 한편 사악하기도 하다. 하지만 사악한 슬픔이나 경박한 공허나 교활한 고독은 생각하기 어렵다. 갓 태어난 아기의 웃음은 세상에서 가장 순수하고 가장 아름다운 것일 테지만, 누군가를 학대하며 그것에서 쾌감을 얻는 자의 웃음은 더없이 사악한 것이다. 어쩌면 웃음이 이토록 쉽게 모습을 탈바꿈할 수 있는 것은 한번 빠지게 되면 그 상태에 한동안 처해 있을 수밖에 없는 공허와 권태 등에 비해 웃음 속에 지속적으로 머물기가 어렵기 때문일 수도, 웃음 자체가 스스로를 배반할 수도 있을 만큼 변덕스런 어떤 것이기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안면근육과 마음의 미묘하고도 복잡한 움직임인 웃음은 심리학적인 현상이기도 하지만 인류학적인 연구 대상이기도 하다(나는 유인원에서 결정적으로 인간으로 진화한 것은 인간이 웃게 되고, 자신의 웃음을 자각하게 되었을 거라는 막연한 상상을 해본다). 그리고 웃음은 철학적 주제이기도 하며, 그에 따라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와 베르그송 같은 많은 철학자들은 웃음에 대해 철학적 고찰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웃음을 둘러싼 문제 중 하나는 이 시대에 웃음이 과용되고 남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웃음은 이 시대의 지고한 가치가 되었다. 대중매체들은 사람들에게서 웃음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고 있으며, 웃음의 전도사들이 웃음을 복음처럼 전파하고 있고, 웃길 줄 아는 사람이 가장 매력적인 사람이 되었다. 사회 전체가 웃어야 한다는, 그래야만 과거의 아픔과 현재의 고통을 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잘못된 믿음에 깊숙이 빠져 있는 것 같다. 공허와 권태와 고독과 수심과 슬픔과 불안 같은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들은 되도록 회피해야 하는, 부정적인 것이 되었고, 그것들이 밀려난 자리에 웃음이 화려하게 군림하고 있다(나는 웃음이 자신이 몰아낸 감정들의 서글픈 모습을 내려다보며, 숨기지도 않고 징그럽게 웃고 있는 모습을 그려 보는데 그것은 어떤 점에서 이 시대의 자화상처럼 여겨진다). 한마디로, 웃음은 무조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미신처럼 만연해 있다. 그런데 과연 웃음이 단지 바람직한 것일 뿐일까? 물론 웃음은 어려운 삶을 견딜 수 있게 하는 커다란 힘을 갖고 있으며, 억압적 상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을 갖게 하며, 심오한 슬픔만큼이나 마음을 정화시키고, 아름다운 뭔가를 경험할 때처럼 웃음의 대상에 동화시키기도 하며, 현재의 상황이 고통스러울수록 웃음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웃음의 순기능만큼이나 그 역기능 또한 의외로 심각하다. 웃음은 그 생래적 특성상, 교활하게도 한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과 그가 처한 상황으로부터 눈을 돌리게 하고, 생각을 덜 하게 하거나 포기하게 하며, 그에 따라 사람을 바보로 만들 수도 있다. 조금 웃는다고 달라질 것이 거의 없는 엄연한 현실 앞에서 식상한, 어설픈 웃음을 짓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허망한 웃음 뒤에 다시 자신의 본모습과 직면하게 되면 더욱 참담해질 수도 있다.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 억압적인 제도가 그랬던 것만큼이나 웃음은 어떤 점에서 이 시대에 억압적인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행사하고 있다. 나는 조금의 교양이라도 갖고 본다면 차마 눈 뜨고 봐 주기 어려운, 그것들을 보고 있으면 온몸의 힘이 쭉 빠지는 많은 드라마와 쇼 프로그램과 영화를 통해 이 사회가 행사하는 억지스런 웃음의 강요는 사회 성원 모두를 무감각과 마비 상태에 빠트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든 웃으라고, 얼이 빠질 때까지 웃으라고 하지만, 웃기지도 않는, 웃기기는커녕 서글픔과 분노를 자아내는 그것들이 진정으로 유포하는 것은, 많이 웃어라, 그만큼 생각 같은 것은 하지 않고도 살 수 있으니까, 너의 난처한 상황은 웃음에 가려질 수 있고, 그만큼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될 테니까, 그것이 아니더라도 웃고 있는 동안만큼은 너는 행복한 사람이다,라는 프로파겐다이다(많은 사람들이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천박한 코미디 프로그램을 보며 웃으며 저녁식사를 하는 광경을 그려보면 그 이상 그로테스크한 것이 없을 정도다). 물론 이러한 대중매체들이 자연스런 웃음을 선사하기에는 역부족이기에 거의 발악을 하듯 주접과 막무가내와 억지와 청승(나는 이것들이 지금 이 나라의 대중문화의 핵심부에 있는 어떤 코드라고 여겨진다)에 필사적으로 매달리는 것은 이해할 수는 있지만 용납하기에는 너무도 처량하다. 진정한 웃음은 늘 제대로 된 유머에서 시작될 수 있으며, 그것은 지성과, 지성의 반성적인 힘과 따로 떨어져 있지 않다. 진정한 웃음은 지속적인 힘을 갖고 있지만 저질 웃음은 휘발성이 강하며, 거기에는 유머가 실종되어 있다. 안타깝게도 좋은 양식을 바탕으로 하고, 자연스런 과정을 거쳐야 하는, 유머에서 피어나는 웃음은 여전히 이 사회에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사회는 아직 그러한 웃음을 제대로 경험한 적도, 그것을 만들어낸 적도 거의 없으니까. 나는 하다못해(?) 만화영화 <심슨 가족들>이나 <사우스 파크>와 같은 프로그램이 이 나라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날은 너무도 멀었다고 본다. 유머야말로 한 사회의 전반적인 인식이 성숙할 때에만 꽃 피울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웃고 있는 순간, 자신의 웃음에 대해 한 번쯤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그 웃음이 자신과 얼마나 밀착된 것인지 혹은 동떨어진 것인지, 그리고 그 웃음이 자신을 어디로 데리고 가고 있는지 자문해야 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정녕 지나친 바람일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