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 수 9,448 추천 수 12 댓글 0
자작나무 - 도종환
북유럽이나 눈이 많이 내리는 추운 지방에서는 자작나무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껍질이 희고 옆으로 얇게 벗겨지며 키가 큰 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북의 깊은 숲에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자작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추운 삼림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내성적이고 과묵하다고 합니다. 자작나무 숲은 보기에는 좋지만 너무 추워서 사람들이 많이 살지 않습니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수렵어로로 어렵게 생활을 이어가던 습성이 남아 있어서 그런지 고독과 사적 자유를 즐기고 술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무슨 일이든 서두르지 않으며 타인과도 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산다고 합니다.
저도 언젠가 자작나무를 보며 이런 시를 쓴 적이 있습니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추운 데서 자랐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맑지만 창백한 모습이었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꽃은 제대로 피우지 못하면서
꿈의 키만 높게 키웠다
내가 자라던 곳에는 어려서부터 바람이 차게 불고
나이 들어서도 눈보라 심했다
그러나 눈보라 북서풍 아니었다면
곧고 맑은 나무로 자라지 못했을 것이다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몸짓 지니지 못했을 것이다
외롭고 깊은 곳에 살면서도
혼자 있을 때보다 숲이 되어 있을 때
더 아름다운 나무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졸시 「자작나무」전문
저는 자작나무를 보면서 희고 맑은 빛깔의 나무지만 한편으론 창백한 모습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꽃은 제대로 피우지 못하면서 꿈의 키만 높게 키운 나무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그 모습이 나와 같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어려서부터 추운 데서 자란 모습이 저하고도 비슷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자작나무는 눈보라와 북서풍이 아니었다면 희고 곧고 맑은 나무로 자라지 못했을 겁니다. 사는 동안 내내 그치지 않던 추위와 혹독한 환경 때문에 그렇게 아름다운 나무가 되었는지도 모릅니다. 소나무처럼 독야청청하기보다 옆의 나무를 찾아가 숲을 이루고 있을 때 자작나무는 더 아름답습니다.
자작나무가 많은 북유럽의 추운 지방에 사는 사람들도 겉으로 보면 말이 없고 폐쇄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생각이 깊다고 합니다. 수다를 떨거나 호들갑스럽지 않은 대신 성격이 차분하다고 합니다. 허세를 부리거나 자신을 과장하지 않고 정직하다고 합니다. 지리적 환경적 영향으로 끈기가 있고, 쉽게 무너지지 않는 정신력을 지니고 있으며, 자립심과 독립심이 강하다고 합니다. 그렇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눈을 감고 눈이 가득 쌓인 숲속의 눈부시게 희디흰 자작나무들을 생각합니다. 이 겨울, 고독하지만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그 고독과 추위 속에서 안으로 깊어져 가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합니다.
북유럽이나 눈이 많이 내리는 추운 지방에서는 자작나무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껍질이 희고 옆으로 얇게 벗겨지며 키가 큰 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북의 깊은 숲에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자작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추운 삼림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내성적이고 과묵하다고 합니다. 자작나무 숲은 보기에는 좋지만 너무 추워서 사람들이 많이 살지 않습니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수렵어로로 어렵게 생활을 이어가던 습성이 남아 있어서 그런지 고독과 사적 자유를 즐기고 술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무슨 일이든 서두르지 않으며 타인과도 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산다고 합니다.
저도 언젠가 자작나무를 보며 이런 시를 쓴 적이 있습니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추운 데서 자랐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맑지만 창백한 모습이었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꽃은 제대로 피우지 못하면서
꿈의 키만 높게 키웠다
내가 자라던 곳에는 어려서부터 바람이 차게 불고
나이 들어서도 눈보라 심했다
그러나 눈보라 북서풍 아니었다면
곧고 맑은 나무로 자라지 못했을 것이다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몸짓 지니지 못했을 것이다
외롭고 깊은 곳에 살면서도
혼자 있을 때보다 숲이 되어 있을 때
더 아름다운 나무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졸시 「자작나무」전문
저는 자작나무를 보면서 희고 맑은 빛깔의 나무지만 한편으론 창백한 모습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꽃은 제대로 피우지 못하면서 꿈의 키만 높게 키운 나무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그 모습이 나와 같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어려서부터 추운 데서 자란 모습이 저하고도 비슷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자작나무는 눈보라와 북서풍이 아니었다면 희고 곧고 맑은 나무로 자라지 못했을 겁니다. 사는 동안 내내 그치지 않던 추위와 혹독한 환경 때문에 그렇게 아름다운 나무가 되었는지도 모릅니다. 소나무처럼 독야청청하기보다 옆의 나무를 찾아가 숲을 이루고 있을 때 자작나무는 더 아름답습니다.
자작나무가 많은 북유럽의 추운 지방에 사는 사람들도 겉으로 보면 말이 없고 폐쇄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생각이 깊다고 합니다. 수다를 떨거나 호들갑스럽지 않은 대신 성격이 차분하다고 합니다. 허세를 부리거나 자신을 과장하지 않고 정직하다고 합니다. 지리적 환경적 영향으로 끈기가 있고, 쉽게 무너지지 않는 정신력을 지니고 있으며, 자립심과 독립심이 강하다고 합니다. 그렇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눈을 감고 눈이 가득 쌓인 숲속의 눈부시게 희디흰 자작나무들을 생각합니다. 이 겨울, 고독하지만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그 고독과 추위 속에서 안으로 깊어져 가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 風文 | 24,349 | 2023.02.04 |
3160 | Love is... | 風磬 | 19,007 | 2006.02.05 |
3159 | 동시상영관에서의 한때 - 황병승 | 윤영환 | 15,927 | 2006.09.02 |
3158 | 136명에서 142명쯤 - 김중혁 | 윤영환 | 19,136 | 2006.09.02 |
3157 | 고통은 과감히 맞서서 해결하라 - 헤르만 헷세 | 風磬 | 11,930 | 2006.11.02 |
3156 | 어느 한 가로수의 독백 - 우종영 | 風磬 | 10,047 | 2006.11.21 |
3155 | 외로운 노인 - A. 슈티코프 | 風磬 | 10,895 | 2006.11.21 |
3154 | 별똥 떨어져 그리운 그곳으로 - 유안진 | 風磬 | 8,961 | 2006.12.01 |
3153 | 국화(Chrysanthemum) | 호단 | 9,796 | 2006.12.19 |
3152 | 세상을 보게 해주는 창문 | 호단 | 7,766 | 2007.01.09 |
3151 | 석류(Pomegranate) | 호단 | 6,570 | 2007.01.09 |
3150 | 세상에서 가장 슬픈건.. | 風磬 | 10,718 | 2007.01.19 |
3149 | 연암 박지원의 황금에 대한 생각 | 바람의종 | 8,967 | 2007.02.01 |
3148 | 방 안에 서있는 물고기 한 마리- 마그리트 ‘낯설게 하기’ | 바람의종 | 16,120 | 2007.02.08 |
3147 | 중국 현대문학의 아버지 루쉰, 사실은 의사 지망생이었다? | 바람의종 | 11,902 | 2007.02.28 |
3146 | 불을 켜면 사라지는 꿈과 이상, 김수영 「구슬픈 肉體」 | 바람의종 | 11,876 | 2007.03.09 |
3145 | 나그네 | 바람의종 | 8,816 | 2007.03.09 |
3144 | 어머니의 사재기 | 바람의종 | 7,220 | 2007.04.13 |
3143 | 맑고 좋은 생각으로 여는 하루 | 바람의종 | 7,224 | 2007.06.05 |
3142 | 스스로 자기를 아프게 하지 말라 | 바람의종 | 7,140 | 2007.06.07 |
3141 | 행복과 불행은 쌍둥이 형제라고? | 바람의종 | 23,131 | 2007.08.09 |
3140 |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 바람의종 | 47,448 | 2007.08.15 |
3139 |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 맹자의 왕도정치를 통해! | 바람의종 | 13,835 | 2007.08.30 |
3138 | 안중근은 의사(義士)인가, 테러리스트인가? | 바람의종 | 15,961 | 200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