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이기분」(소설가 김종광) 2009년 6월 5일_스물일곱번째 |
난 이씨 성에, 이름자가 ‘기분’이야. 터 기(基) 자에 가루 분(粉). 국민학교 시절, 동무들은 툭하면 ‘아, 이 기분!’, ‘기분이 좋아!’ ‘기분아, 기분이 꿀꿀해!’ 해댔지. 내 별명이 ‘눈물순이’, ‘울탱이’였는데, 십중팔구는 이름 때문에 눈물 흘리고 엉엉 운 거였어. 딴에는 이름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지. 무식한 것들, 이 한자도 모르는 무식한 것들, 근동에서 가장 많이 배운 우리 아빠가, 서울에서 전문대학 근처까지 다녔던 우리 아빠가 특별히 신경 써, 아마도 ‘꽃가루가 분분하게 흩날리는 아름다운 터 같은 사람이 돼라’는 바람을 담아 작명해주신 것을, 자 자, 희 자, 경 자, 숙 자, 수 자, 식 자, 호 자… 자 자 돌림밖에 안 되는 것들이 무시하고 지랄들이야, 하고 속으로는 당당했던 거지. 한데 꽃가루보다는 쌀가루에 가까운 가루 분 자였던 거야. 막연히 꽃가루 분 자로 알고 있다가 한참 실망했던 기억이 나. 하지만 다시 생각해도 역시 좋은 이름이었어. ‘쌀가루가 언제나 흩날리는 풍족한 터처럼 부유한 사람이 돼라’는, 요새 말로 하면 ‘부자가 돼라’는 거 아니겠어.
꿈보다 해몽이었지. 부르는 사람들이야 그런 거 생각하나. 기분이란 이름을 들으면 일단 웃음을 머금었고, 남의 이름 가지고 장난말 할 생각이나 했지. 그러나 돌이켜보면 국민학교 때가 이름이 가장 빛날 때였어. 그때는 이름을 무시로 불러 주는 동무들이 있었지. 국졸로 학창 시절을 마감한 이후로는 이름 불러 주는 사람이 없었어. 열여섯 살 때인가 어떤 시인의 ‘꽃’이라는 시를 읽고 펑펑 울었던 게 생각이 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라는 시구는, ‘아무도 나의 이름을 불러 주지 않으니 나는 다만 하나의 짐승에 지나지 않았다’처럼 느껴졌어.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라는 시구에서는 철철 울었지. 제발 ‘누가 단 한 번이라도 좋으니 나의 이름을 불러 주었으면’ 하고 간절히 바랐지. 엄마, 아빠조차도 이름을 안 불러 줬거든. “야!”, “이 년아!”, “첫째야!”, “처녀!”, “십장네 딸내미야!”가 전부였지. 스물두 살에 결혼하고 나서도 마찬가지였어. “이봐!” “새댁!”, “작은 엄마!”, “엄마!”, “광이 엄마!”, “라원리 댁”이 전부였지.
하지만 이름이 사라졌던 건 아니야. 난 노상 병원 출입을 하게 되었는데, 그 약냄새 진동하는 곳에서 잠깐이나마 이름을 되찾고는 했지. 또 마흔 넘어서부터는 농협과 우체국에 계좌를 갖게 되면서 이름이 불리게 됐어. 병원 사람들과 농협, 우체국 사람들은 언제나 이름을 불러 주대. 또 동무들하고 계를 하면서부터는 한 달에 한 번 내 이름에 광을 냈지.
특히 저번 중국 나들이 4박5일 동안, ‘이기분’이라는 내 이름은 원없이 불려 봤네. 동창애들이 다들 처음 하는 구경 아냐. 어디를 가도 보는 것마다 좋았을 것 아니야. 좋다는 표현을 달리 할 수도 있을 땐데, 애들이 하나같이 “기분좋다!”고 하는 거야. 그리고 내가 워낙 아픈 데가 많았고 특히 다리가 아픈데, 내가 과연 중국 관광을 감당할 수 있을까 두려웠어. 삼일째까지는 괜찮았어. 그것도 다른 애들 높은 데 먼 데 갔다 올 동안 나는 차 안에서 혼자 기다리면서 조금 걸어서 그나마 괜찮았던 거지만. 그런데 마지막 날은 조금도 걷지를 못했어. 그러니 동무들 열여섯이 돌아가면서 “기분아, 괜찮냐?”라고 해 대니, 아주 내 이름이 반짝반짝 빛났다니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