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서울 북한산의 옛 이름은 삼각산이다. 주봉인 백운대(830m)를 인수봉(810m)과 만경대(800m)가 굳건히 지키는 모습이다. 1998년 여름 본지 기자가 개성 쪽에서 찍은 북한산 사진을 보면 세 봉우리가 정립(鼎立)한 모양새를 확연히 알 수 있다. 하늘로 활짝 열린 세 봉우리 모두 바위투성이어서 일반인은 오르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백운대는 바위를 깎아 발 디딜 곳을 만들고 쇠 난간을 박아 외곬로 길이 나 있지만 인수봉과 만경대는 사람들의 발길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위 글에서 '외곬로'는 '외곬으로'의 오기다. 조사 '로'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는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체언 뒤에는 '으로'로 적어야 한다. 흔히 외곬의 발음[외골]에 이끌려 'ㄹ'로 끝나는 것으로 착각해 '외곬으로'로 적어야 할 것을 '외곬로'로 잘못 쓰는 것이다.
1999년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 펴냄)은 예전에 '외곬'으로 표기하던 '단 한 곳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이란 뜻으로 '외골수'를 인정했다. '나비만을 연구하는 외골수 학자'와 같이 쓰인다. 외곬은 '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외통),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이란 의미로 쓰인다.
'-투성이어서'는 '-투성이여서'를 잘못 쓴 것이다. '(친한) 사이여서'를 '사이어서'로 쓰지 않는 것과 같다. '-투성이여서'는 '-투성이+이+어서'로 분석된다. '이+어서'는 '되+어'가 '돼'로 되는 것처럼 '여서'로 축약된다. '-투성이어서'로 헷갈려 쓰는 것은 접미사 '-투성이'를 '-투성'으로 잘못 알고 있기 때문이다.
-
∥…………………………………………………………………… 목록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성씨(姓氏)의 장단음
-
흙밥과 흙수저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외래어의 받침
-
손글씨
-
불규칙용언 (1)
-
받침과 대표음
-
간식(間食)의 순화어
-
모음조화
-
관용구와 속담
-
고급지다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단위명사
-
혼밥과 혼술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웃프다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아저씨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