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 수 6,792 추천 수 10 댓글 0
그리고 나서
주위에서 보면 '밥을 먹었다. 그리고 나서 이를 닦았다'와 같이 '그리고 나서'라는 말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그리고'에 '-나서'를 덧붙여 쓰는 것은 잘못이다. 이 경우는 '그러고 나서'로 써야 한다. '그러고 나서'의 '나서'는 보조동사 '나다'를 활용한 형태다. 여기에서 '나다'는 '숙제를 끝내고 나니 홀가분했다'처럼 '-고 나다'의 구성으로 쓰여 앞 말이 뜻하는 행동이 끝났음을 나타낸다. 보조동사이므로 앞에 동사가 오게 된다. '그리고'는 동사가 아니라 접속부사이므로 '그리고 나다'의 형태로 쓸 수 없다. 이 때문에 '그리고 나서'는 바르지 않은 말이다. 맨 위의 예문 '밥을 먹었다. 그리고 나서 이를 닦았다'에서 '그리고'를 살려 쓰고 싶다면 뒤의 '나서'를 빼고 '밥을 먹었다. 그리고 이를 닦았다'로 하면 된다.
'저러고 나서' '이러고 나서'의 경우는 어떨까? '저러다'는 '저리하다', '이러다'는 '이리하다'의 준말이다. 둘 다 동사다. 그러므로 '-고 나다'가 붙어도 문제가 없다.
'그리고 나서'와 마찬가지로 흔히 잘못 쓰는 것이 접속부사 '그리고'에 '는'을 붙인 '그리고는'이다. 하지만 같은 접속부사 '그런데' '그러므로'에 '는'을 붙여 보자. '그런데는' '그러므로는'은 아무래도 어색하지 않은가. '그리고는'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바른 표현인 '그러고는'과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일 뿐이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80,222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6,398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40,824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799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819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700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630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650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754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688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681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637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712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743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742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313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202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343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1,244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823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722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790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922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