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 수 8,897 추천 수 19 댓글 0
나도 표준어
녹음이 한창이다. 길을 걷다 보면 돌담이나 바위, 건물 외벽, 도로변의 방음벽을 타고 오르는 아름다운 식물이 눈에 띈다. '덩굴' 식물이다. 포도·칡·머루·수박처럼 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땅 위를 기거나 다른 물체에 붙어 자라는 식물의 줄기를 '덩굴'이라고 한다.
'넝쿨은 다른 것인가.' 고개를 갸웃하는 독자가 있을 것이다. 혹자는 '덩쿨'이 맞다고 우기기도 한다.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이분법적 생각에 사로잡히다 보면 언어생활에서도 잘못을 범할 수 있다.
'덩굴'과 '넝쿨' 둘 다 맞는 표현이다. '쇠고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쇠고기의 '쇠'는 '소의~'의 준말로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니 쇠기름·쇠가죽·쇠머리·쇠꼬리 등만 맞는 것으로 잘못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문 표준어규정(1988년 1월)은 소기름·소가죽·소머리·소꼬리 등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다만 소도둑·소장수·소달구지 등은 소의 부산물이 아니므로 '소의∼'의 축약 형태가 붙은 쇠도둑·쇠장수·쇠달구지 등으로 쓰면 안된다.
이와 같이 우리말엔 복수표준어로 인정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의외로 많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는 날씨인 '가물/가뭄', 아이들이 예쁜 새 옷을 말할 때 쓰는 '고까/꼬까/때때', 헝겊·종이 따위의 작은 조각인 '나부랭이/너부렁이'….
형태는 다르지만 발음도 비슷하고 언어를 사용하는 빈도에 있어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때 복수표준어로 삼고 있다.
공지 | isGranted() && $use_category_update" class="cate"> | ∥…………………………………………………………………… 목록 | 바람의종 | 2006.09.16 |
공지 | isGranted() && $use_category_update" class="cate">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007.02.18 |
공지 | isGranted() && $use_category_update" class="cate">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00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