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 수 13,186 추천 수 5 댓글 0
‘빼또칼’과 ‘총대가정’
어렸을 때 연필을 깎기 위하여 칼집이 있는 칼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일이 생각난다. 북녘에서는 주머니칼을 ‘빼또칼’이라는 생소한 이름으로 부른다. 문학작품에서는 “외진 데를 찾아서 두 필의 말을 끌고 가는 봉길이는 밋밋하게 비탈진 산언저리에 이르러 맞춤한 새초밭을 찾아냈다. 마른 풀을 뜯어 먹게 말들을 놓아 준 봉길이는 호주머니에서 칼집이 달린 빼또칼을 꺼내들고 새초를 베기 시작하였다. 말먹이 새초를 새로 마련함으로써 자기가 결코 어린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배심이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9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이 경우 ‘맞춤한’은 ‘알맞은’의 뜻이고, ‘새초밭’은 ‘풀이 새로 난 풀밭’이라는 뜻이다.
북녘에는 ‘총대가정’이라는 가정이 있다. 이는 “가족 전체 또는 부자나 형제, 남매가 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는 등 일가족 모두가 총대를 메고 나선 가정”이다. 북녘 신문에는 “이제 머지않아 우리 집의 막내딸도 초소로 떠나게 된다. 그러면 우리 가정도 총대가정으로 된다. 총대가정, 이 영예롭고 성스러운 부름 앞에 언제나 떳떳하게 살고 싶은 것이 자식들을 초소에 내세운 우리 부모들의 심정이다.”(<로동신문> 2002년 3월1일치) 등으로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80,706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6,885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41,299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807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832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710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648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664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771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699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690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650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730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754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759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322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214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348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1,263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844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736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809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934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