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기 해깝지라!
‘디기 해깝지라’는 ‘굉장히 가볍지요’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해깝다’는 ‘하깝다/허껍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해깝다’는 ‘경기, 충청,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과 중국 동포 사회에서, ‘하깝다/허껍다’는 경상과 함경 지역에서 쓰인다. ‘해깝다’는 북녘의 대부분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조선말대사전>에는 ‘(사람의 행실이나 언행이) 아주 가볍다’는 뜻으로 풀이되어 실려 있다. “걸음도 해깝고 방울 소리가 밤 벌판에 한층 청청하게 울렸다.”(<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들돌이 해깝게 땅에서 뿌리가 떨어졌다.”(<녹두장군> 송기숙) ‘해깝다’의 말뿌리는 분명치 않다. ‘속이 비어 있음’을 의미하는 ‘허’와 형용사를 만드는 접사 ‘-갑다’가 결합한 ‘헛갑다’에서 그 말뿌리를 찾아볼 수도 있고, ‘가깝다>하깝다’와 같은 단순한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ㄱ’과 ‘ㅎ’의 교체는 고장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리의 변화이다.(고숩다>호숩다(고소하다))
‘해깝다’의 또다른 형태로 ‘해깝하다/해깝허다’와 ‘사깝다’를 들 수 있다. 앞엣것은 경상과 전라, 뒤엣것은 제주 고장말인데, ‘사깝다’는 ‘하깝다>사깝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소금짐 우에다 질삼 필이고 머고 얹어 나아도 원청 돈을 잘 벌어노이 해깝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
∥…………………………………………………………………… 목록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성씨(姓氏)의 장단음
-
흙밥과 흙수저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외래어의 받침
-
손글씨
-
불규칙용언 (1)
-
받침과 대표음
-
간식(間食)의 순화어
-
모음조화
-
관용구와 속담
-
고급지다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단위명사
-
혼밥과 혼술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웃프다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아저씨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