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녘의 속담
속담은 생활 속에서 얻은 경험이나 교훈을 간결한 언어 형식으로 표현한 것인데 이에는 은유, 직유, 의인, 야유, 과장, 반복, 대구, 대조 등 여러 가지 문체론적 방법이 효과적으로 동원되어 문장이 세련되어 있고 그 의미가 함축적이다.
우리가 잘 쓰지 않는 것으로 “국수집 식초병 같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냉면을 많이 먹는 북쪽에서 그 식습관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속담이다. 평양의 옥류관은 하루에도 엄청난 수의 손님이 든다니 그 식초병이 얼마나 바쁘랴 싶다. 부산스럽게 바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이때 국수는 꼭 국수만을 이르는 것이 아니다. 면 종류를 널리 지칭하는 말이다.
“가을 뻐꾸기 소리 같다.”는 말은 실속 없는 헛소문을 이르는 말이다. 뻐꾸기는 봄새인데 이 뻐꾸기가 가을에 운다니 거짓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요즈음은 5월이 되어도 우리 농촌에서 뻐꾸기 소리가 듣기 어렵다. 남북에서 의미는 같으면서도 표현이 다른 속담이 있다. “부뚜막(가마목)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느려도 황소걸음(걸음새 뜬 소가 천리 간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 예쁘다(함함하다)면 좋아한다.”, “티끌 모아 태산(큰 산).”, “방귀 뀐 놈이 큰소리친다(나갔던 파리 왱댕한다).” 등이다. 괄호 속의 것이 북쪽 식 표현이다.
한편, “꽃은 웃어도 소리가 없고 새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는 김정일 위원장의 무뚝뚝하고 안하무인함을 풍자하려고 고전 소설인 <최고운전>을 인용하여 만든 속담(?)이라고 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6,671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3,007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7,380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690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707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612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535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496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669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602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592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556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621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646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628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207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108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254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1,143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738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619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638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835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