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갓달이
사람이름
세종 7년(1425년), 남해바다 갈이섬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왜인을 잡아 공을 세운 이들에 대해 경상우도 수군처치사가 병조에 보고하였다. 2등 공을 세운 염간(鹽干) 황복이·김갓달 등 열세 사람에게 대마도 정벌 때처럼 공적패를 주고 살아있는 동안 부역을 안 지게 해 달라고 병조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몸은 양인이면서 낮은 일을 하는 이들(신량역천)에 한(干)과 자이(尺→장이)가 있었다. 염간은 염한(鹽漢)으로도 적으며 ‘소금한’이다. 왕실이나 절의 땅을 부치는 전호를 곳한(處干)이라 부르며 나중에는 소작농이 되었다. ‘한’에는 ‘어부한·두부한’도 있다. 절에 땔나무를 대는 사람을 불목하니라고 하는데 이런 흐름의 조각을 보여준다.
조선 때 ‘한’과 ‘자이’가 천한 직업이라는 인상을 씻어주고자 이들을 ‘보충군’에 편입시키기도 하였다. 이로부터 전문직종 사람을 ‘꾼’(軍)으로 부르게 되었다. 꾼은 요즘 말에서 ‘어떤 일을 전문·습관적으로 하는 사람, 어떤 일 때문에 모인 사람’을 뜻한다. 나무꾼·노름꾼·사기꾼·사냥꾼·일꾼 등 꾼이 쓰인 말은 셀 수 없이 많다.
밑말 ‘갓’이 든 사내이름에 갓놈이·갓동이·갓박이(까빡이)·갓쇠가 있고, 계집이름에 갓개·갓금이·갓비도 있다. 갓은 머리에 쓰는 갓, 갓김치를 담글 때 쓰는 밑감, 갓길은 가장자리 길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
∥…………………………………………………………………… 목록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성씨(姓氏)의 장단음
-
흙밥과 흙수저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외래어의 받침
-
손글씨
-
불규칙용언 (1)
-
받침과 대표음
-
간식(間食)의 순화어
-
모음조화
-
관용구와 속담
-
고급지다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단위명사
-
혼밥과 혼술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웃프다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아저씨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