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꿀비늘(역린)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한비가 지은 <한비자>의 ‘세난편’은 임금을 타이르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적은 것이다. 임금이 명예를 부러워하는 때에 이익을 가지고 타이르면 나쁜 놈이라고 멀리해 버린다. 거꾸로 이익을 탐내고 있는데 명예로 타이르면 실용성이 없다고 받아들이지 않는다. 겉으로는 명예를 좋아하는 척하고 있을 때 명예로 타이르면 겉으로는 받아들이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쓰지 않고, 이익으로 타이르면 속으로는 받아들이면서도 겉으로는 나쁜 놈이라고 멀리해 버린다. 그러므로 임금을 타이를 때에는 그의 기분을 잘 살펴서 요령 좋게 끌어들이도록 해야 하며 조금치도 화를 내게 하는 것 같은 짓을 해서는 안 된다는 끌어대기(비유)다.
‘용’이란 놈은 잘 다루면 좋아하여 말을 잘 들어서 올라탈 수도 있지마는, 어쩌다가 목 밑에 있는 지름 한 자 정도의 ‘거꿀비늘’(역린: 거꾸로 박혀 있는 비늘)을 건드리거나 하면 반드시 그 사람을 죽여 버린다. 임금에게도 거꿀비늘이 있다. 타이르는 사람이 임금의 거꿀비늘을 건드리지 않게 할 수 있으면 ‘될성부름’(가망성)이 있다고 봐도 된다. 이 대목에서 임금의 노여움에 걸리는 일을 “거꿀비늘을 거스름”이라고 하는 것이다.
보통 같아서는 아무 일도 아닌 것 같아 그냥 넘어가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시원하시겠습니다” 하고 알랑방귀를 뀌는 것도 한 처세술일런가.
정재도/한말글연구회 회장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576 | 후생가외(後生可畏) | 風文 | 296 | 2024.07.10 |
575 | 화씨지벽(和氏之璧) | 風文 | 340 | 2024.07.09 |
574 | 화서지몽(華胥之夢) | 風文 | 269 | 2024.07.08 |
573 | 화룡점정(畵龍點睛) | 風文 | 400 | 2024.07.07 |
572 | 홍일점(紅一點) | 風文 | 252 | 2024.07.06 |
571 | 호접지몽(胡蝶之夢) | 風文 | 254 | 2024.07.05 |
570 | 호연지기(浩然之氣) | 風文 | 316 | 2024.07.04 |
569 | 한단지몽(邯鄲之夢) | 風文 | 307 | 2024.07.03 |
568 | 풍성학려(風聲鶴唳) | 風文 | 299 | 2024.07.02 |
567 | 포호빙하(暴虎馮河) | 風文 | 234 | 2024.07.01 |
566 | 파죽지세(破竹之勢) | 風文 | 313 | 2024.06.30 |
565 | 퇴고(推敲) | 風文 | 304 | 2024.06.29 |
564 | 토사구팽(兎死狗烹) | 風文 | 387 | 2024.06.28 |
563 | 태산북두(泰山北斗) | 風文 | 229 | 2024.06.26 |
562 | 타산지석(他山之石) | 風文 | 331 | 2024.06.24 |
561 | 칠보지재(七步之才) | 風文 | 281 | 2024.06.21 |
560 | 치인설몽(癡人說夢) | 風文 | 352 | 2024.06.19 |
559 | 축록자불견산 (逐鹿者不見山) | 風文 | 369 | 2024.05.31 |
558 | 청천백일(靑天白日) | 風文 | 334 | 2024.05.29 |
557 | 청담(淸談) | 風文 | 437 | 2024.05.10 |
556 | 천재일우(千載一遇) | 風文 | 514 | 2024.05.08 |
555 | 천려일실(千慮一失) | 風文 | 618 | 2024.03.27 |
554 | 천고마비(天高馬肥) | 風文 | 566 | 2024.03.26 |
553 | 창업수성(創業守成) | 風文 | 651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