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라면 근 오백년 동안 개성에 도읍하였다. 창업지주인 태조 왕건 자신이 해군 출신이고, 중국을 통해 문호를 열어서 개성의 외항은 자못 벅적거렸다. 개성은 임진강과 예성강을 양옆으로 둘렀으며, 전면은 한강수를 역류로 받고, 강화도가 수구를 막았는데 김포와 사이의 염하를 통해 남도로 연락한다. 물에 둘러싸여 물길로 사방 연결되는 위에, 서쪽으로 예성강만 건너면 황해평야의 기름진 땅이 펼졌으니, 참으로 하늘이 낸 좋은 땅이라 할만하다. 그런데 중국은 당이 멸망한 후 고도의 문화를 지닌 중국족의 세력이 차츰 남으로 밀려나고, 북쪽에는 강력한 서북 세력들이 도사리고 있어, 그전과 같이 육로로는 통할 수 없는 실정이라, 중국과의 교류는 뱃길로 황해를 건너다닐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그러자니 개성 가까이 예성강 하구에는 자연 국제적인 항구가 형성되어 자못 일성하였을 것으로 짐작이 간다. 그런데 연대는 분명치 않으나 여기서 한 가지 사건이 벌어진다. 물자를 교역하러 왔던 중국의 돈 많은 상인 하두강이라는 이가 어떤 부인을 보고 홀딱 반해 버린 것이다. 오매불망 그 부인 모습에 정신이 나간 하대인은 골몰히 생각하고 생각한 끝에 한 꾀를 내었다. 어떤 경로로 밟았는지 그 부인의 남편되는 이와 알게 되고, 둘이는 시간만 나면 마주 앉아 바둑을 두며 즐기는 사이가 되었다. 상대방은 장사 수완으로 닳고 닳은 사람이다. 자연스럽게 사귀는 사이 바둑 수완은 서로 빤히 들여다 보이게쯤 되었고, 하대인은 지는게 분했는지 돈을 걸고 내기를 하자고 제의해왔다. 뻔한 결과로 하대인은 연일 상당한 재물을 내기에서 잃었다. 오기가 났든지 내기에 거는 금액을 높여 갔으나 그의 바둑 수완으로는 부인의 남편을 이길 재간이 없었다. 곱상한 아내를 둔 주인공-고려 사람이니(까오따아런) 이라고 해 두자- 은 한밑천 톡톡히 잡았다. 그러던 어느날 하대인은 자못 심각한 표정으로 제의하는 것이다.
“정말 까오따아런 바둑 수완은 못 당하겠어. 울리 사람이 그동안 내기에 다 잃고 이제 남은 거라곤 배 한척 하고 불알 두 쪽밖에 없어 해. 마지막으로 한 번 내기하는데 나는 남은 재산 다 걸고 따아런은 부인을 걸면 어때해?” “이 사람 그걸 말이라고 하나? 그나마 다 잃으면 만리타국에서 알거지가 될 텐데, 그땐 어떡하려고...” “괜찬아 괜찬아, 울리 송나라 사람 의리있어 해. 친구들 배 타고 귀국하면 울리집 장원 아직도 더 있어 해.”
사람좋은 고대인은 상대방 바둑 수완쯤 익히(?) 아는 바라 괘히 승낙하고 판을 대했는데 세상에 이럴 수가 있나? 몇 점 놓으면서 보니 자기보다 몇 수나 위다. 점점 위기에 몰려든 고대인은 한 판을 다 못 두어 돌을 내려 놓고 말았다.
“휴우!” “까오따아런! 장사꾼은 신용이 제일이야. 당신 아내는 이제 울리 사람 꺼다. 알았지?”
이리하여 아내를 내기에 잃은 고대인은 그 동안 내기로 딴 재물이 있으니 아내를 값을 쳐서 팔아먹은 꼴이 되고 말았다. 그는 아내를 싣고 가는 배의 돛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강 언덕에 멀거니 앉아 하염없이 울었다. 그때 지어서 부른 것이 예성강곡이다. 천하일색을 손에 넣고 의기양양해서 돌아가던 배는 바다 복판에서 방향을 잃었다. 풍파도 없는데 한자리를 빙빙 돌며 더 나아가지를 못하는 것이다. 덜컥 겁이 나서 점을 쳐보니 부인의 높은 절개에 감동하여 하늘이 시킨다는 풀이다. 뱃사람들은 요동을 떨며 뱃머리를 돌렸고, 일동의 목숨도 온전할 수 있었다. 무사히 돌아와 남편을 대면한 부인은 눈물을 삼키면서, 노래 한곡조를 불렀는데, 이것이 예상강곡 후렴으로 물론 가사나 곡은 전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