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가 쏟아지는 우리 선인들 이야기 - 이훈종
반역자를 죽이려다
병자호란에 따른 민족의 비극은, 책을 들추기조차 역겨울 만큼 참혹하고 억울하고 분통이 터져 견디기 힘들다. 패전으로 `성하지맹`의 수모를 당한 후에, 세자와 후에 효종이 된 봉림대군이 볼모가 되어 저들의 땅으로 끌려가게 됐을 때, 명색이 벼슬아치들이라는 게 평소에 나불대던 충성은 어디다 던져두고, 핑계를 대어 배행해 모시고 가기를 모두들 꺼려 하였다. 오직 정뢰경만이 시강원 사서로서 수행하기를 자원해서, 그를 모시고 일했던 강효원도 함께 가게 되었다. 오래지 않아 정공은 필선으로 승임되었는데 그는 인조 8년(1630년) 23세로 문과 별시에 장원급제하여 장래를 촉망받는 문신으로 당시 나이 30세밖에 안되었다. 병자호란에는 약간 복잡한 사정이 있는데, 그 대강은 이러하다.
중국 본토의 명나라와는 건국초부터 남달리 친밀한 관계를 맺어 왔고, 조정에서는 임진왜란 때 이여송을 시켜 10만 대군으로 구원병을 보내준 것을 다시 없는 은혜로 여겨 오던 터라 그들에 대한 은의도 저버릴 수 없고, 만주땅에서 새로이 일어나는 청나라 세력에 맞설만한 군사력도 갖고 있지 못했다. 그래서 광해군이 집권하던 14년 동안엔, 이른바 등거리외교로 그럭저럭 양편으로 다 좋은 척하며, 내 몸만 상하지 않으면 된다는 식의 자위책으로 일관해 왔다. 그러는 동안 광해군 10년 무오에 명나라의 만주토벌에 협력하기 위해 강홍립으로 도원수를 삼아 10만 병을 동원했는데, 심하싸움에서 패전해 김응하는 전사하고 강홍립은 남은 병력을 이끌고 청에 항복하고 말았다. 그런 지 5년 만인 인조원년, 반정에 공이 컸건만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전세가 불리하자, 이괄편에 붙었던 구성부사 한명련의 두 아들이 청으로 도망가 거기서 저들의 장수가 되어 병자호란 때 향도의 구실을 하게 된다. 이때 정명수라는 놈이 있었는데, 본시 은산고을의 관노로 역시 같은 계급 출신인 김돌이와 함께 청군에 붙잡혀 갔다. 그런데 요놈이 어찌 영리하고 약아 빠졌는지 어느 결에 저들의 말을 배우고 익혀서 용골대, 마보대라는 저들 장군 신변에 있어 통역구실을 하고 저들의 창귀가 되어 본국 정부에 대해 차마 못할 짓을 무던히도 하였다. 여기 창귀라는 말을 썼는데 이것은 범에게 잡아 먹힌 사람의 영혼이라고 한다. 이것이 범의 앞잡이가 되어 `조놈 잡아 먹어라, 저놈 맛있겠다, 먹어 치워라.`하며 인도하고 다닌다는 것이다. 그래 세력을 믿고 못된 꾀만 내는 놈을 가리키는 말이 된 것이다.
나라 안 사람들이 모두 이를 갈면서도 어쩌지 못했는데, 꼬리가 길면 밟힌다고 청나라 조정에서도 차츰 놈들의 행동을 수상쩍게 여겨 놈의 행동을 캐밝히어 죽여 없앨 생각을 갖게 되었다. 정뢰경 일행이 이 낌새를 알고, 이 기회를 틈타 `요놈을 손 안대고 저들의 힘으로 죽여 없애리라.` 마음먹게 되어 현지에 와 있던 박호, 신득연, 박계영, 신욱, 김종일, 정지화, 여러 분이 힘을 모으기로 했는데 주모자는 물론 정뢰경이었다. 이 해 정월에 김종일과 상의 끝에 수하 이속 중에 믿고 일 맡길 사람은 강효원만한 이가 없다고 의견이 일치되어 그를 불러 앉히고 말하였다.
"명수와 돌이 두 도적놈의 못된 짓은 세상이 다 아는 바로, 청나라 조정에서도 요놈들을 없애려 하니 이 기회를 놓쳐선 안되겠네."
두 놈의 이름에 성을 붙여 말하지 않았는데, 옛날부터 역적같은 질 나쁜 죄인을 지칭할 때는 그 일가들이 거북해할까 보아 그냥 이름만으로 부르는 것이 선례였다.
"요사이 두 놈의 행적이 더욱 방자해져서 하한에게 보내는 물품 중에서 배와 감 각 열 접씩을 가로채 먹었고, 최상국이 올때 가져온 은자 2백냥과 역관 최득남이 싣고 온 은 일곱 바리를 몽땅 떼어먹었는데 증명할 만한 문건은 모두 여기 있어. 그러니 그대는 천노와 함께 문서로 그 간악상을 고발하라. 청관이 증거를 대라거든 시강원 양반들이 알고 있다 하라. 그러면 뒷일은 우리가 담당함세."
그러나 명수 일당은 철저하게 간사하였다. 증거물로 제출한 문서를 박로라는 자를 시켜 태워 없애고, 박로가 신문 당할 때는 `그런 일이 없다`고 잡아떼게 하였다. 적반하장으로 정뢰경 일행은 되레 완전히 뒤집어 쓴 꼴이 되어 사형을 당하게 됐는데 그들을 용서받게 하려고 세자께서 납셨다. 이때 웬놈이 길을 가로막아 서기에 정지화가 이런 무엄한 데가 있느냐고 했더니 "이놈, 나를 누구로 아느냐? 내가 정명수다, 이놈아!" 하고 주먹으로 마구 쳐서 의관이 다 파열을 당하였다. 끝내 정뢰경과 강효원, 천노는 함께 참형을 당했는데 그들의 태도는 끝까지 당당하였다고 한다. 그 뒤 조정에서는 정뢰경을 충신으로 정문을 내리고, 강효원은 아전의 지위를 면해 주었다.
당시의 사실은 훗날 청나라에 오가는 과정을 쓴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가운데 `하필이면 정명수란 놈에게 형벌을 맡기어서 그 참혹함을 눈 뜨고는 볼 수 없었다.`고 나와 있다. 청나라에서도 놈의 행적에 정이 떨어지고 본국에 와서 행한 행패도 낱낱이 알려져, 이 반역자의 무리는 저희들이 저지른 죄값으로 청인들 손에 목이 날아갔고, 남은 건 씻을 길 없는 악명뿐이었다. 한편 청에 투항한 도원수 강홍립은 인조반정 후 자신의 온 가족이 몰살당했다는 풍설을 듣고 저들의 군대를 끌고 평산땅까지 왔다. 조정에서는 그의 온 가족을 군문까지 데리고 가 면회시켜 주어서 오해는 풀렸으나, 그의 숙부 강진은 `조선사람이 어찌 그럴 수가 있느냐`고 크게 꾸지람을 했다. 청에서도 이 사실을 알고는 그를 남겨 두어 조정의 처분에 맡기고 회군해 갔다. 조정에서는 청이 강성한 것을 두려워해 드러내 놓고 죽이진 못하고, 강홍립을 양화 나룻가에 있는 정자에 나가 있게 했는데, 나라안 분들을 대할 면목이 없어서인지 방 문지방을 나서지 않은 채 여러해 동안 탄식하며 신음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더니 인조 5년 병사해다고 한다. 그러나 가족들이 슬그머니 목매어 없애 버린 듯 그렇게 나와 있는 기록도 몇 군데 있으니 나라를 배신한 자의 말로는 비참하기 짝이 없다고나 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