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사람을 달래 보내고 돌아서 돌계단을 오르는 스님 눈가에 설운 눈물방울 쓸쓸히 피는 것을 종탑 뒤에 몰래 숨어 보고야 말았습니다 아무도 없는 법당문 하나만 열어놓고 기도하는 소리가 빗물에 우는 듯 들렸습니다 밀어내던 가슴은 못이 되어 오히려 제 가슴을 아프게 뚫는 것인지 목탁소리만 저 홀로 바닥을 뒹굴다 끊어질 듯 이어지곤 하였습니다 여자는 돌계단 및 치자꽃 아래 한참을 앉았다 일어서더니 오늘따라 엷은 가랑비 듣는 소리와 짝을 찾는 쑥국새 울음소리 가득한 산길을 휘청이며 떠내려가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멀어지는 여자의 젖은 어깨를 보며 사랑하는 일이야말로 가장 어려운 일인 줄 알 것 같았습니다 한번도 그 누구를 사랑한 적 없어서 한번도 사랑받지 못한 사람이야말로 가장 가난한 줄도 알 것 같았습니다 떠난 사람보다 더 섦게만 보이는 잿빛 등도 저물도록 독경소리 그치지 않는 산중도 그만 싫어, 나는 괜시리 내가 버림받은 여자가 되어 버릴수록 더 깊어지는 산길에 하염없이 앉았습니다
박규리 (1960~ )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나 중앙대 예술대학원 문예창작과정을 수료했다. 1995년 『민족예술』에 「가구를 옮기다가」외 4편을 발표하여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이 환장할 봄날에』(2004) 간행.
산중 깊은 암자일수록 속세와의 연이 더욱 질기게 이어져 있다. 역설이다. 세간에서 받은 상처가 깊을수록 더 깊은 산중으로 찾아들지만, 암자로 이어진 아주 작은 오솔길은 제 아무리 지우려 해도 지워지지 않는 ‘눈물의 길’이다. 박규리 시인의 「치자꽃 설화」는 이미 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린 바 있다. 산중 암자의 한 일화를 그대로 옮겼을 것만 같은 이 시는 매우 산문적이면서도 절묘하게 시적 울림을 증폭시킨다. 시를 읽노라면 비에 젖은 치자꽃 향기가 온몸에 척척 달라붙는 느낌이다. 종교적 엄숙주의 혹은 그 가식에 질릴 대로 질린 이들이라면 이 시에 감동받지 않을 이 몇이겠는가. 시 속에 등장하는 ‘사랑하는 사람을 달래 보내고 돌아서 돌계단을 오르는 스님’도 비로소 스님답고, 실연에 겨워 ‘돌계단 및 치자꽃 아래 한참을 앉았다 일어서’는 여인도 비로소 사랑을 아는 여인다우며, ‘괜시리 내가 버림받은 여자가 되어 버릴수록 더 깊어지는 산길에 하염없이 앉’아 있는 화자인 시인도 절집에 살만한 보살답다. 그리 길지 않은 이 시는 ‘설화’가 아니라 부연 설명이 필요 없는 한편의 영화다. 아니, 허구의 영화가 아니라 감동적인 다큐멘터리가 아닐까. 그렇다. ‘사랑하는 일이야말로 가장 어려운 일’이니 이 시를 되새기며 우리 함부로 사랑의 이름으로 사기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