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누각(空中樓閣) // 공중에 누각을 짓는 것처럼 근거나 토대가 없는 사물을 이르는 말. 《出典》'夢溪筆談' 송나라의 학자 심괄(沈括:號-夢溪翁)이 저술한 일종의 박물지(博物誌)인《夢溪筆談》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등주(登州)는 사면이 바다에 임하여 봄과 여름철에는 저 멀리 하늘가에 성시누대(城市樓臺)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고장 사람들은 이것을 해시(海市)라고 이른다. 登州四面臨海 春夏時遙見空際有城市樓臺之狀 土人謂之海市. 훗날 청(淸)나라의 학자 적호(翟灝)는 그의 저서《통속편(通俗篇)》에서 심괄의 글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지금 언행이 허구에 찬 사람을 일컬어 '공중누각(空中樓閣)'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 일을 인용한 것이다. 今稱言行虛構者 曰空中樓閣 用此事. 이처럼 '空中樓閣'이란 말은 이미 청나라 때부터 쓰여 왔으며, 심괄의 글 가운데 '海市'라는 것은 '신기루(蜃氣樓)'를 가리키는 말이다. 史記의 '천관서(天官書)'에도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신기(蜃氣)는 누대(樓臺)를 본뜬다. 넓은 들판의 기운이 궁궐을 이룬다. 蜃氣象樓臺 廣野氣成宮闕. 【유사어】과대망상(誇大妄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