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말엽 일본의 동경에서 유학하고 있던 한 학생이 자그마한 약속을 지켜 줌으로 해서 우리 민족의 신의를 인식시켜 준 실화입니다. 김군은 동경의 모 전문학교를 졸업하기 직전에 고향으로부터 어머니가 위독하시다는 전보를 받게 되었습니다. 그는 일본인 목사가 경영하는 기숙사에 묵고 있었는데 짐을 쌀 때 그 목사에게 배낭 하나를 빌려서 대충 필요한 생필품과 책자 몇 권만을 넣고 고향으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고향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는 이미 세상을 떠나셨고 태평양 전쟁은 막바지에 다다른 상황이었습니다. 일본은 폭격을 받게 되고 관부 연락선도 일 주일에 한 번 정도 내왕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그는 집안 사정과 차편으로 인해 일본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된 것입니다. 다만 그가 걱정한 것은 일본의 기숙사에 두고 온 많은 자기 물건보다도 목사의 배낭을 보내지 못하는 것이었습니다. 어느 날 김군은 기차 안에서 동경으로 건너가는 상업학교 학생 한 명을 우연히 만나게 되었습니다. 처음 만나는 사람이었으나 그는 그 학생을 믿고 목사에게 배낭을 전해 달라는 부탁을 했습니다. 한두 달 뒤에 그는 모 중학교 교사로 취직이 되었습니다. 그 무렵, 배낭을 부탁했던 그 학생이 돌아왔습니다. 배낭을 잘 전달했음은 물론 그의 졸업장까지도 찾아왔습니다. 그로부터 얼마 뒤엔 일본인 목사로부터 편지가 왔습니다.
"기차 안에서 만난 초면인 사람을 믿고 배낭을 부친 그대나 그것을 이 전란 중에 가지고 온 사람이나 모두 나를 감탄케 했습니다. 이런 신의 있는 사람들인데 어째서 우리 일본 사람들은 당신들을 '조센징'이라고 나쁘게 평하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 아마도 이것은 우리 일본 사람들이 섬사람이라서 마음이 좁기 때문일 것입니다."
일본인 목사는 그 얼마 되지 않는 고물 배낭이지만 잊지 않고 돌려보낸 김군이나, 그것을 먼 곳까지 찾아가 전달한 상업학교 학생의 태도에 탄복한 것입니다. 한 사람의 작은 신의가 온 민족의 명예를 드높일 수 있는 감동의 이야기입니다.
나는 진정으로 일본이 망하기를 원치 않고 좋은 나라가 되길 원한다. 이웃인 대한 나라를 유린하는 것은 결코 일본의 이익이 아닐 것이다. 원한 품은 이천만을 억지로 국민 중에 포함하는 것보다 우정있는 이천만을 이웃 국민으로 두는 것이 일본의 득일 것이다. 그러므로 대한의 독립을 주장하는 것은 동양의 평화와 일본의 복리까지도 원하는 것이다. (안창호)